해리 포터와 불의 잔 1 (무선) 해리 포터 시리즈
조앤 K. 롤링 지음, 최인자 옮김 / 문학수첩 / 200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만화에 빗대어 이야기를 하자면, <드래곤볼>이 생각난다. 토리야마 아키라는 <닥터 슬럼프>와 <드래곤볼>로 유명한데, 나는 닥터 슬램프를 무지무지 좋아했었다. 상상 속에서 가능한 모든 익살을 그림으로 풀어놓는 재주가 놀라운 작가다.

초창기의 드래곤볼에는 토리야마의 재능이 그대로 드러나있다. 아주 재미있고, 웃기고, 명랑하다. 그런데 어찌된 게 뒤로 갈수록 재미가 없어지고, 그림도 제 색깔을 잃어버린다. 이유는 단순하다. 인기를 끌다보니 출판사에서 작가에서 '질질 끌 것'을 요구했고, 결국 드래곤볼은 생명력 없이 연장방영되는 희한한 전투극이 되어버렸다. 요약하자면, '더 강한 적'의 함정에 빠진 셈이다.

주인공 손오공은 적과 싸워서 이긴다. 주인공이니까 이겨야 한다. 그런데 여기서 이야기가 끝나면 안 되니까, 더 강한 적이 나타난다. 놀랍게도 전투력이 향상된 오공은 적과 싸워 또 이긴다. 그 다음엔 더 강한 적이 나타난다. 이렇게 강하고, 더 강하고, 또 더 강한 적이 나타나는 것으로 이야기가 반복되는 것이다.

기우일지 모르지만, <불의 잔>을 보면서 드래곤볼이 떠올랐다. 솔직히 난 기다리고 기다리던 <불의 잔>이 조금 실망스러웠다. 어둠의 지배자 볼드모트는 드디어 육신을 얻어 부활했다. 사실 볼드모트의 부활은 1권에서 이미 나왔던 내용이다. 단지 이번에는 '뼈와 살'이 볼드모트에 더해졌을 뿐이다.

작가가 '드디어 부활했다'고 아무리 주장한들, 난 이미 첫 권에서부터 볼드모트의 부활을 봤기 때문에 그다지 극적으로 느껴지지 않는다. '드디어 부활했다'기보다는 '육신을 얻어 더 막강해졌다'고 하는 것이 맞을 것이다.

나이를 한 살 더 먹은, 이제는 여학생들에게도 관심을 쏟게된 사춘기의 해리 역시 더 강해졌다. 그리고 해리는 볼드모트와 싸운다. 물론 현상적으로는 이긴다. 그러나 작가는 여운을 남긴다. 해리는 싸움에서는 일단 이겼지만-살아서 돌아왔으니까- 볼드모트를 없애지는 못했다. 왜? 5권, 6권, 그리고 7권까지 볼드모트가 나와야 하니까.

더 강한 적, 더 강해지는 주인공의 반복되는 싸움. 물론 조앤 롤링의 작가적 능력에는 높이 쳐줄 부분이 많다. 영상문법에 충실함으로써 영상세대의 어린이들을 페이퍼북으로 끌어들이는 능력도 놀랍고, 과거의 전통들을 아주 맛있게 버무리는 능력도 놀랍고, 이전의 마법동화들에 비해 탁월한 시나리오로 어른 독자들까지 책을 손에 쥐게 만드는 능력도 놀랍다.

그런데 시리즈의 중반부에 해당되는 네번째권을 읽으면서, 어쩐지 씁쓸하다는 생각도 들었다. 꿈이나 희망 같은 것, 동화가 어린이에게 줄 수 있는 가장 큰 선물인 그런 것이 빠져있는 것 같아서다. 물론 재미는 있다. 갈수록 기름기가 끼어가는, 스필버그의 영화를 닮아가는 것 같아서 찝찝하긴 하지만. 문제는 그 재미조차 전편이랑 비등비등하다는 것. 내 기대가 너무 컸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