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주의 이후 당대총서 7
이매뉴얼 월러스틴 지음, 강문구 옮김 / 당대 / 1996년 8월
평점 :
품절


피터 드러커나 앨빈 토플러 류의 '자본주의 미래학' 서적을 읽다보면 어느새 갈증이 느껴진다. 이 책은 화려한 수사 속에서 빠져버린 진보에 대한 갈망, 진보적 미래전망에 대한 갈망을 해소시켜주는 책이다.

저자가 이 책에서 일관되게 주장하는 것은, 89년 구 소련의 몰락으로 공식 판명된 사회주의의 몰락-후쿠야마의 표현을 빌자면 '역사의 종언-은 바로 근대 세계를 지배해온 자유주의의 몰락이라는 것이다. 보수주의-자유주의-사회주의는 현상적으로는 갈등관계인 것처럼 비쳐졌지만 실제로는 프랑스 혁명 이후 계속된 '위험한 계급'들의 준동을 막아보려는 장치들이었다는 해석이 새롭다. 이들 사상의 패키지는 본질적으로 '국가발전'이라는 목표를 갖고 있었다고 저자는 강조한다.

유럽 68혁명은 이 자유주의 패키지의 허구성, 특히 구 좌파운동의 허구성을 낱낱이 드러냈다는 점에서 자유주의의 종말을 보여준 극적인 사건이었다. 이는 또한 20세기 전반을 장악한 미국 헤게모니의 균열과 자본주의의 경제주기가 장기적으로 하강국면을 맞은 상황에서 불거져나온 것이었다.

68년 지식인들의 눈에 포착된 미국 헤게모니의 균열은 이란의 호메이니와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이 일으킨 도발로 굳어졌다. 저자가 이 두 사건을 해석하는 방식은 아주 독특하다. 호메이니는 얄타협정 이후 고착화된 미-소의 세계분할지배를 거부하는 것이었으며, 후세인의 도발은 북-남의 본격적인 무력대결이었다는 것이다.

문제는 미래에 대한 전망이다. 섣부른 낙관과 비관을 모두 거부하는 불확실성의 시대, 앞으로 약 반세기동안 벌어질 이 변화의 시기에 진보운동은 무엇보다 지금까지의 '국가주의', '발전주의'와 절연해야 한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어떤 사회운동도 다른 사회운동의 우위에 있다고 주장해서는 안 되며 다양하게 중첩되는 집단들이 서로 다양성을 인정하면서 집단적 해결책을 모색할 때라는 것. 신자유주의가 세계를 지배하려하는 이 시점에서 아직 추상적으로 느껴지기는 하지만, 지금까지의 진보세력의 변혁전략과는 다른 틀로 사고해야 한다는 메시지로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