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당분교 올림픽>을 리뷰해주세요
몽당분교 올림픽 맛있는 책읽기 4
김형진 지음 / 책먹는아이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강원도 시골 분교에 다니는 학생은 달랑 7명. 것두 우리나라 애들만 다니는게 아니다. 북한, 태국, 필리핀, 우즈벡, 나이지리아 아이들과 우리나라애가 전부다. 모두 우리가 만만히 보는 그런 나라들이다. 미국이나 이태리 그런 삐까 뻔쩍한 나라들이 아닌 우리나라에 힘들게 돈을 벌러 왔거나 탈북을 한 아픔이 있는 부모의 자식들이다. 하지만 그런 아이들에게 인종에서 오는 차별은 없다. 적어도 이곳에서 만큼은...물론 약간은 있지만.... 

오래전 미국에 갔을때 수업시간에 제일먼저 가르쳐 주는 것은 편견과 차별이었다. 외국인에 대한 차별을 수차례 아니 거의 한 학기동안 주입을 시켰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러나 정작 그 곳에서도 차별을 존재하고 있었다. 백인이 흑인이나 히스패닉에 대한 차별. 흑인이 동양인에 대한 차별. 오죽하면 그런 수업을 할까하는 생각이 절로 들었다. 

강원도 시골분교가 1년후 문을 닫는다고 한다. 아이들이 큰일났다. 어떻게 하면 학교를 살릴 수 있을까 고민을 한다. 이 동네에는 월남 참전군인이 있고, 반면에 베트남에서 시골총각에 시집은 호야라는 여자가 있다. 그녀는 월남전 당시 참전군으로 인해 가족을 잃은 아픈 과거가 있다. 이렇게 강우너도 시골 분교의 나날은 시끄럽고 보이지 않는 긴장감이 맴돌고 있었다.  

몽당분교올림픽은 서로 다른 문화권에서 찾아온 사람들의 자녀를 통해 차별과 편견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아이들은 친구의 피부색이나 국적에 그리 민감하지 않지만 어른들은 그렇지가 않다. 그냥 친구이고 티격 태격 싸우면서도 서로를 생각하는 도시의 여느 학교 짝꿍들의 모습이다. 하지만 이곳이 시골이고 때묻지 않아서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이러한 현실이 서울 한복판에서 일어나고 있는 상황이라면 똑같이 뛰어놀고 함께 할 수 있을까? 아마도 아니 적어도 아이들 끼리는 그렇게 할것이다. 문제는 그 아이들의 부모가 아닐까 한다. 그" 아이와 놀지 말아라", "가까이 하지 말아라", "친하게 지내지 마라"라는 말로 아이에게 벽을 쌓아 줄것이다.  

지금 이야기 속의 학교가 문을 닫았는지 아니면 어떤 계기가 되어 계속 아이들의 교육의 터로 남아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마음속으로 간절히 바라고 바랐다. 비록 10명도 되지 않는 조그맣고 보잘 것 없는 학교지만 꿈이 있고 미래가 있고 더 나아가 평화가 존재하는 그런 학교로 계속 남아지기를 말이다. 어른이 읽어도 가슴 뭉클한 이야기. 내 아이에게 꼭 읽어주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