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한겨레 문화센터에서 황성근 선생님의 '자유기고가 과정' 수업을 듣고 있다. 저널리스트식 글쓰기, 간단히 말해 '기사' 쓰는 법을 배우는 수업이다. 물론, 글이라는 게 누군가에게 사사받는다 해서 필력이 갑자기 늘어나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굳이 이 강의를 비싼 돈 내면서 듣는 이유는 두 가지다. 


   첫째는, 내 문체에서 조금이라도 벗어나고픈 마음 때문이다. 그동안 블로그에 올린 글들을 다시 읽어봤다. 글의 내용도 재미없지만, 그 글을 구성하는 문장도 이런저런 수식어로 늘어붙고 둘러싸여 원뜻을 알아차리기 힘들다. 내가 쓴 글에서 수식어를 지워봤다. 주어와 동사만 남은, 문장이라고 차마 말하기 쑥스러운 것들. 초라하고 볼품없었다. 아마도 그게 나 자신일 것이다. 각 글에서 눈에 띄기 위해 화려한 미사여구로 치장했던 앙상한 문장은, 그나마 이 세상에서 뒤쳐져 보이지 않기 위해, 무시 당하지 않기 위해 여러 허장성세로 치장한 나 자신이다. 수식어구가 빠진 문장에는 글쓴이의 감상이 배제된다. 반면 그 자리는 읽는 이의 몫으로 남겨진다. '글은 쓰는 사람을 나타낸다'는 말이 맞다면, 그래서 주어와 동사, 이 문장의 기본요소로만 글을 쓸 수 있다면, 적어도 이 세상에 나 자신을 나타내는데, 표현하는데 조금 더 당당할 수 있지 않을까.


   둘째는, 내가 쓰고 싶은 글이 '기사'라는 글의 형식에 가장 가깝기 때문이다. 전에도 언급했던 '농촌에서의 삶'에 대한 글을 쓰기 위해선, 다양한 취재와 수많은 인터뷰가 필요하다. 그러한 자료 수집을 통해 가공시킬 글의 형태는, 글쓴이의 어설픈 감상이 들어가기 보다는 읽는 이가 판단할 수 있는 '기사'라는 장르가 가장 이상적일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이론 강의는 어제부로 끝났고, 앞으로는 수강생들이 기사를 작성해서 제출하고 품평을 할 예정이다. 기사는 단신기사, 생활기사, 가이드기사, 인터뷰기사, 탐방기사, 총 다섯 편을 작성하는데, 욕심부리지 않고 선생님이 가이드하는 대로 따라가보려 한다. 장황하고 지리한 내 문체를 버려야 한다는 점이, 아마도 오른손잡이가 왼손으로 글을 쓰는 것과 같이 어설프고 이상해보일 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그 어설프고 이상해보이는 왼손 글쓰기도 익숙해지면 고유의 스타일을 가진다. 이제 오른손의 익숙함을 잠시 접어두고, 새로움을 맞이할 시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