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
김연수 지음 / 문학동네 / 200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소설을 어디에서부터 어떻게 이야기해야할지 막막하다. 김연수 작가의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은 내가 지금껏 접해온 소설이 아니었다. 소설의 시점은 엉켜있고, 앞부분에서 살짝 언급했던 이야기들이 아예 한 장(章)을 통해 이야기하는가 하면, 아직 언급하지 않은 사실을 마치 다 알고 있는 사실인양 능청맞게 기술해서 읽는이를 계속 어리둥절하게 만든다. 마치 소설 전체를 대구법을 사용한 것처럼. 이 소설을 읽기 위해선 독서 중 다시 앞으로 돌아가서 확인하는 '번거로움'이 필요하고, 언급한 사실이 기술되기를 기다리는 '인내'가 필요하다. 수동적 읽기가 아닌 적극적인 독서를 요한다. 김연수는 왜 이런 방법을 선택했을까? 

   책을 읽는 동안에는, 이런 서술이 소설을 있어 보이게 하는 겉멋이 아닌가 생각했었다. 하지만, 책을 다 읽고 난 후에야, 겉멋이 아니란 것을 알게 되었다. 세대와 세계가 겹쳐지는, 우리가 느끼지만 알지 못하는 거대한 '우연'을 이야기 하는데 이 정도의 품은 팔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소설의 주인공이자 화자인 '나'는 1991년을 살아가는 20대 초반의 대학생이다. 소설은 '나'와 애인 '정민'의 이야기로 진행되지 않는다. '나'의 이야기에서 '정민'의 이야기로, 정민의 이야기에서 정민의 삼촌의 이야기로, 삼촌의 이야기에서 이길용/강시우의 이야기와 그의 일본인 애인 레이, 홀로코스트를 경험한 독일인 헬무트 베르크의 이야기로 그야말로 종횡무진을 한다. 마치 세헤라자데라가 이야기하는 '아라비안 나이트(千一夜話)'처럼. 

   소설에 등장하는 모든 인물들은 모두들 우연한 사건에 휘말린 사람들이다. 정민의 삼촌의 내셔널 지오그라피를 헌책방에서 구하지 않았더라면, 이길용이 광주에서 야바위를 하지 않았더라면, '내'가 이길용의 비디오를 보지 않았더라면, 아마도 이 소설은 이야기를 진행하지 못했을 것이다. 우연한 사건에 휘말려 특별한 삶을 살게된 이들의 이야기를. 

   소설의 인물들은 모두 두 번 태어난 사람들이다. 정민의 삼촌은 갑작스런 죽음과 갑작스런 폭행으로 세로운 세상을 만난 경우다. 정민은 그런 삼촌의 자살로 꿈 속에서 깨어났다. 이길용의 경우는 특별한 경우다. 그는 '두 번 태어났다.' 한기복의 분신을 통해 - 더 정확히는 이상희를 만나고 나서 - 한 번, 다른 한번은 안기부를 통해서. 이들은 모두 우연한 사건을 통해 새로 태어나게 되었고, 새로 태어난 이들은 또 다른 의미로 세상에 영향을 주고 이 모든 사람들에게도 영향을 주게 되었다. 어느 하나를 빼놓고는 설명할 수 없는 존재들. 이 세상은, 아니 우주는 '모두인 동시에 하나인' 셈이다.  

   일제시대와 남북분단 그리고 독재와 광주와 민주화 운동. 이 모든 것은 한국에서만 일어난 개인적인 사건이 아닌 전 세계사적으로 촘촘히 얽힌 거대한 우연과도 같은 것이다. 운명같은 이 거대한 우연을 초라한 개인은 설명할 수 없다. 하지만 김연수는 그걸 표현했다. 이해할 수는 없었지만, 느낄 수는 있었다.

   소설에서 언급한 칼 세이건 이야기처럼, 칼 세이건이 보낸 지구의 메시지는 우주 저 편의 또다른 칼 세이건(지구의 칼 세이건 처럼 외계 지적 생명체를 믿는 외계인)만이 듣게 될 것이다. '나'는 비로소 할아버지의 메시지인 '입체 누드 사진'과 태워버린 '비망록'을 수신할 수 있게 되었다. 그래서 다시 태어난 '나'는 새로 메시지를 보낸다. '나'의 그 메시지는 지금 소설을 막 읽은 '내'가 될 것이다.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 우리는 '모두인 동시에 하나'다. 누군가 라디오의 전파를 잡아주기를 바라는 저마다의 사연을 가진 주파수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