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오후, 업무에 관련한 자료 검색을 하던 중, 눈에 띄는 기사를 발견했다.
‘8등신에 슬픈 눈매’ 가야 소녀 복원
(기사 읽기 클릭)
권력자 무덤에 순장된 10대 여성
고대한국인 대상 첫 과학적 성과
이달 초, 유골이 출토되었다는 소식에는 그런가보다 싶었는데, 막상 복원된 모습을 보고나니, 1500여년 전 그 시대를 살았을 소녀의 모습에 왠지 모를 뭉클함이 느껴졌다. 그리고 그 모습에서 『현의 노래』에 나온 순장된 왕의 시녀 아라가 떠올랐다.
내게 있어 순장은 '지배자가 죽을 때 아랫사람들을 같이 묻는다'는 개념화된 지식으로만 여겨졌었다. 하지만, 『현의 노래』를 읽고 나서 그 개념화된 순장이 실체가 되어 다가왔다. 김훈이 묘사한 순장을 조금만 들여다 보자.
|
|
|
|
왕의 관이 석실로 내려올 때, 문무의 두 순장 중신들은 흰 수염을 가지런히 하고 눈을 감았다. 군사들이 석실의 돌뚜껑을 덮을 때 쇠나팔이 길게 울렸다. 순장자들의 구덩이마다 배치된 군사들이 일제히 돌뚜껑을 들어올려 구덩이를 덮었다. 구덩이를 덮을 때, 울음소리나 비명소리가 한 줄기도 새어나오지 않으면, 백성들은 그 적막을 죽은 왕의 덕으로 칭송했다. 간혹 구덩이 뚜껑을 덮을 때 흑, 흑 젊은 여자들의 웃음인지 비명인지가 새어나오는 경우도 있었지만, 사람들은 그 불경하고 요망한 일을 입에 담지 않았다. 또 돌뚜껑이 덮이는 순간, 뚜껑을 밀치고 구덩이 밖으로 뛰쳐나오려는 자들도 더러는 있었다. 군사들이 달려들어 몽둥이로 사지를 부러뜨려 구덩이 안으로 밀어넣었는데, 그 일도 사람들은 애써 기억하지 않았다. 때로는 장례 전날 밤, 소복을 입은 채 달아난 처녀들도 있었다. 군사들이 갈대숲과 바위 틈을 뒤져 처녀들을 붙잡아 여러 토막으로 베었다. 군사들은 처녀의 몸 토막을 우물에 던지고 흙으로 메웠다. 처녀의 부모들이 쇠터의 노비로 끌려갔고 살던 집은 헐렸다. 처녀들의 도망은 없었던 일로 바뀌었는데, 세월이 지나도 사람들은 그 참담한 일을 일절 입에 담지 않았다.
(별 中)
|
|
|
|
|
순장에 선택되는 것은, 그시대에선 자연사나 다름 없었다. 그것은 어찌할 수 없는 운명과도 같은 것이었다. 블합리하지만, 따를 수 밖에 없는 그 시대의 질서였다. 그러나 아라는 달랐다. 그녀는 그 운명에서 벗어나려고 했다. 받아들여야 할 어쩔 수 없는 죽음과 하나의 생명체로서 삶을 이어가고 싶은 본능 사이에서 그녀는 질서를 받아들이는 대신 삶을 선택했다. 그렇기 때문에 그런 그녀가 우륵과 니문에게 영향을 줄 수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그런 그녀도 결국엔 그 질서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왕의 충성스런 신하들 덕분에 아라는 결국 순장되고 만다.
|
|
|
|
아라는 상여의 왼쪽에서 올라왔다. 붉은 비단천을 휘감은 몸뚱이가 삼줄로 묶여 있었고, 긴 머리카락이 어깨 아래로 늘어졌다. 눈을 가렸고, 입에 재갈이 물려 있었다.
상여는 더욱 다가왔다. 아라의 머리카락에서 햇빛이 부서지면서 흘러내렸다.
지관이 요령을 흔들며 상여 앞으로 나아가 두 번 절했다. 태자의 구덩이 남쪽으로, 아라의 구덩이는 얕고 좁았다. 그 옆에 두 쪽짜리 돌뚜껑이 놓여 있었다. 지관이 아라의 구덩이 속에 토기 세 개를 넣고, 먼 가야산 쪽을 향햐 두 번 절했다. 내위군 한 명이 달려들어 아라를 밀쳤다. 아라는 구덩이 안으로 쓰러졌다. 지관이 밥 한 그릇을 구덩이 속으로 던졌다. 군사들이 돌뚜껑을 밀어서 덮었다. 지관이 우륵 앞으로 다가왔다.
(월광 中)
|
|
|
|
|
그녀의 죽음은 어떻게 찾아왔을까. 구덩이 안에서 돌뚜껑이 덮어지는 광경은 어떤 것일까. 그리고 주위에 있던 사람들의 소란스러움이 사라진 후 그 적막함은 어떤 느낌일까. 원하지 않는 죽음을 인위적으로 시나브로 맞이해야 하는 그 절망감은 어떤 느낌일까. 이 어쩔 수 없는 불합리함에 분노하지 못하고 체념해야 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아라의 죽음은 이렇게 경험하지 못하고, 해결할 수 없는 질문만을 내게 남겨주었다.
그런 그녀가 현대 과학의 힘으로 그 때 모습으로 우리 앞에 섰다. 그녀의 모습은 다부져 보이지만, 눈빛은 왠지 슬퍼보인다. 1500여년 전의 아라는 지금의 우리에게 무슨 이야기를 해주려 지금 다시 나타났을까. 그 이야기는 나중에 듣더라도, 지금은 그 당시 어쩔 수 없는 죽음 앞에 체념하고 공포에 떨었을 수많은 가야의 아라들에게 위로를 전하고 싶다. 더이상 무서워 말라고. 외로워 말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