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김훈, 독자와의 만남] 잘 다녀왔습니다.
공무도하
김훈 지음 / 문학동네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공무도하』를 읽었을 때의 느낌은 그의 처녀작인 『빗살무늬토기의 추억』의 대구 소설이 아닌가 싶었다. 『빗살무늬토기의 추억』은 바람이 불어오는 것으로 시작하고 『공무도하』에서는 장마전선이 형성되는 것으로 시작한다. 바람과 아직 형성되어 있지 않은 물의 이미지는 우리가 그 존재는 알고 있으나 잡을 수 없는 아득한 것이다. 마치 우륵의 음률이나 타이웨이 교수의 저작처럼. 혹은 매번 돌아오는 끼니나 종묘와 사직처럼. 김훈은 이번 작 『공무도하』에서도 실재하는 관념 혹은 관념적인 실재를 다룬다.

   소설의 한 축은 신문기자 문정수가 취재하는 '물'과 관련된 사건이고, 다른 한축은 편집자 노목희가 진행하는 타이웨이 교수의 저작 '『시간 너머로』'와 관련된 일이다. 이 두가지 이야기가 교차되면서 소설이 진행된다. 기자는 사건에 개입을 하지 않는다. (사람들에게 사건을 전달하기 위해) 관찰할 뿐이다. 편집자는 저작물을 창작하지 않는다. 저작물을 대중에게 드러내기 위해 노력할 뿐이다. 문정수와 노목희는 그저 바라볼 뿐, 개입하지는 않는다. 

   노동운동가였지만 변절한 장철수, 훌륭한 소방수였지만 화재현장에서 장물을 훔친 박옥출, 아들이 개에게 물려죽도록 방치한 오금자, 공사현장에서 무한궤도에 깔려죽은 방미호, 그 아버지 방기남, 그리고 베트남에서 '팔려'왔다 도망친 후에. 이들의 이야기가 신문기사처럼 감정없이 나열되다가 해망이란 지역에서 이들이 모이게 된다. 비루하고 치사하고 던적스러운 인간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쩔 수 없이) 살아나가야 한다. 바다밑에 깔린 포탄 고철을 건져서라도, 아이가 죽어서 받은 성금/합의금을 받아서라도. 인간으로서 살아간다는 것이 이다지도 힘들고 슬픈 일인지...  

   김훈은 이상을 꿈꾸지 않는다. 그는 이 현실이, 이 세계가 어떤 곳인지 알고 있다. 비루하고 치사하고 던적스러운 인간들이 살고 있는 이곳은 오염한 곳이다. 이 오염한 곳을 벗어나는 방법은, 강을 건너는 것. "시간 너머"의 세계, 죽음이다. 죽음만이 이 모든 것을 해결해 줄 수 있다. 죽음만이 인간을 해방시켜 줄 수 있다. 그러나 김훈은 "다 같이 죽자"고 선동하지 않는다. 그는 강을 건너지 말고 함께 살아가자 제안한다. 문정수가 장난식으로 타이웨이 교수에게 해망에 와서 해망에 관한 글을 쓰는 게 어떻겠냐고 했을 때 노목희가 무섭게 쳐다본 이유는 바로 그들이 서 있는 공간이 다르기 때문일 것이다. 현실주의자와 이상주의자의 차이.

   이 모든 사건을 취재한 문정수는 이 세계에 남았다. 반면 "시간 너머"의 세계에 친착한 노목희는 떠난다. 문정수는 오늘도 인간세계의 던적스러움을 취재할 것이다. 公無渡河. 김훈이 '물을 건너지 말라'는 것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세상을 같이 살아가자는 것이 아닐까. 김훈의 『공무도하』는 '시간 너머' 피안의 세계에 도달하지 못한, 강을 건너지 못한, 아니 건넌다는 생각조차 못하는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바치는 노래다.  

 


댓글(2) 먼댓글(1)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공무도하』장철수의 모습에서 다산의 치욕을 보다
    from 이번 크리스마스에 눈이 올까요? 2009-12-04 09:18 
       요즘들어 김훈의 책을 '과하다'싶을 정도로 많이 읽었다. [작가와의 만남]에 다녀오면 좀 그 양이 줄어들 줄 알았는데 어찌된 게 더 늘어났다. 10대 초반에는 이문열(이게 다 『삼국지』 때문이다), 중반에는 이현세, 10대에서 20대를 관통하는 조정래. 20대 초중반의 하루끼. 20대 말의 이토 준지와 고우영 그리고 30대에 만난 박민규, 성석제. 그 외에는 이렇게 전작을 파고든 작가는 없는 것
 
 
톨트 2009-11-12 11: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녕하세요. 책을 참 부지런하게 읽으시는군요. 공무도하에 관련된 페이퍼들을 찾아 읽다가 여기까지 왔습니다. 좋은 글이네요.

Tomek 2009-11-12 12:25   좋아요 0 | URL
허섭한 글을 좋은 글이라고 칭찬해주시니 몸둘바를 모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