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란 한 권을 꾸준히 앉은 자리에서 진득하니 읽어야 하는 것인데, 난 애초에 습관이 좀 별나게 들어서인지 책을 여러권씩 조금씩 읽는다. 그러다보니 내용이 서로 엉키는 부분이 많아서 책을 읽을 때마다 복습을 하곤 한다. 제대로 책을 읽는지는 모르지만, 습관은 쉽게 잘 고쳐지지 않는 것 같다. 

 

1. 공무도하 

   작가 김훈의 자필 사인을 받고 싶어서 예약 기간에 냅다 주문해서 샀다. 처음엔 계속해서 벌어지는 사건과 인물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지 않고 병렬식으로 전개되어서, 읽는 동안 좀 골탕을 먹었었는데, 중반부를 넘어서니 그간 벌여놓은 인물과 사건이 점차 문정수에게 집중되는 느낌이 든다. 그의 문체 또한 여전히 치열하고. 다음주에 있을 <작가와의 만남>에 꼭 갈 수 있으면 좋겠다. 

 

2.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예전부터 서간집은 잘 읽지 못하는 편이었다. 물론 지금도 마찬가지지만. 편지, 그것도 발신인 것만 모아놓은 이야기는 그 윤곽이 잘 잡히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서간집은 나름 '적극적인 독서'로서의 매력이 있는 것 같다. 특히 날짜와 날짜 사이에 무슨 일이 벌어졌고, 또 주인공이 어떤 심리상태인지에 대한 생각은 소설을 더 풍부하게 만들어주는 것 같다. 그리고 지금껏 얼마나 많은 작품들이 이 소설을 인용했는지도 알 수 있고...

 

3. DUNE 

   올 6월부터 읽고 있는데 아직 1/3 정도밖에 읽지 못했다. <DUNE>을 읽은 계기는 데이빗 린치의 영화 <DUNE> 때문이다. 2시간 분량의 영화에 소설의 모든 세계관을 넣어서 무슨 이야기인지 따라잡을 수 없었기 때문에 소설을 택했다. 한글판 말고 영문판을 읽는 이유는, 단어의 선택이 궁금해서이기도하지만, 4권으로 분권된 번역본보다 1권인 영문판이 훨씬 저렴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4. 창천항로

           

   이미 다 읽기도 했고 구입도 한 책이지만, 1~22권까지는 삭제본 구판으로 가지고 있어서 다시 구입하고 읽기 시작했다. 성인만화로 분류되었으면서 도대체 삭제는 왜 한 것인지... 휴...  

   이학인의 글도 뛰어나지만, 왕흔태의 그림 또한 굉장하다. 재미면에서도 뛰어나지만, 서기 3세기까지 지탱되어 온 중국 역사의 체제, 종교, 학문, 철학을 아우르는 대작이기도 하다. 다만 아쉬운점은 이학인의 죽음으로 30권 이후부터는 <찬천항로>만의 아우라가 사라진, 평범한 만화가 되었다는 점이다.  

   구판은 인명의 오역이 다수 있고(서황->서광, 장료->장량), 번역이 매끄럽지 않아서 읽으면서 상당히 괴로웠는데, 이번 신판은 그런 점을 어느 정도 해소해 다행이다. 

 

5.  백야 

   언젠가 도스또예프스키를 읽으리라고 마음먹었던 지가 5년은 지난 것 같다. 이러다 읽지는 않고 다짐만 할까봐 구입해 읽기 시작했다. 일단 지금까지는 <백야>만 읽었는데, 지금의 현대 소설과는 많이 달라서 읽기가 쉽지 않았다. 석장쯤 읽다가 다시 앞으로 돌아가고, 다시 석장쯤 읽다가 다시 돌아가고. 어느 정도 남자 주인공을 파악하고 이해하기 시작했을 때 비로서 글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지금 태어났다면 아마도 '골방의 제왕'이 되었을 법한 독특한 사유와 글쓰기가 날 사로잡는다. 고전은 괜히 고전이 아닌가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