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인슈타인의 꿈
앨런 라이트맨 지음, 권루시안 옮김 / 다산책방 / 2025년 4월
평점 :
본 서평은 출판사에서 지원받은 도서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시간은 한 방향으로 쭉 뻗은 일직선이 아니다. 시간은 한없이 늘어나기도 하고 순식간에 스쳐 지나가기도 한다는 걸 겪어보지 않은 사람은 없다. 시간은 여러 차원에서 공존하는 개념일 수도 있고 흐름일 수도, 층일 수도 있다.
시간 그 자체의 의미나 역할보다, 인간이 시간을 어떻게 경험하는지가 시간에 대한 이해를 만들어간다. 시간을 흐르는 것으로 느끼는가, 정체되어 있는 것으로 느끼는가, 공간처럼 구획하여 존재할 수 있는 것처럼 느끼는가. 혹은 그 시간을 어떻게 다루고 싶어 하는가. 보존하고 싶어 하는가, 거리를 두고 관조하고 싶어 하는가. 인간이 시간을 체험하는 여러 양상을 펼쳐보이는 한 권의 책이 있다.
저자는 이론물리학자다. 이론물리학자가 시간을 탐구한 사고실험의 흔적이 서른 편의 엽편으로 남았다. 이 사고실험은 특이하게도 소설의 형식을 빌렸다. 시간에 대한 객관적인 정의를 차치하고 주관적인 해석만 남긴 듯한 글들이다. 결국 자기 나름의 '시간을 사는 법'을 체득하기를 바라며 쓴 사례집처럼 읽히기도 한다.
소설 속 시간의 꿈 세계는 그 하나하나가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의 진실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저는 독자 여러분들이 『아인슈타인의 꿈』을 읽고는 시간을 다른 방식으로 생각하게 되기를 바랍니다. 삶을 다른 방식으로 생각하게 되기를 바랍니다. -13쪽
시간에 대해서 이런저런 이론과 학설이 난무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 많은 썰들을 가르는 기준에 대해서 생각해 보면 이런 것들이 떠오른다. 연속성, 비가역성, 실재성, 무한성 기타 등등. 그러나 앨런 라이트먼의 사색의 흔적이 담긴 이 이야기들을 읽어가다보면 그 많은 이론들이 다 무슨 소용인가 싶어진다. 시간이 단속적인지 연속적인지, 현실적으로 엔트로피를 거스를 수 있는지 없는지가 학술적으로는 중요할지 몰라도 결국 시간은 개인의 삶 속에서 사적으로, 그리고 아주 약간 공적으로 체험될 뿐이다. 우리는 '똑같은 삶을 되풀이하며 살게(21쪽)' 되어 있으며, '순간을 살아가는 방법(48쪽)'을 배워야 하고, 우리의 마음은 순간순간 '저마다 다른 시간대에 들러붙어 있(65쪽)'음을 깨달을 때가 종종 있다. 그뿐일까. 모든 추억이 머물러 있는 '시간의 중심지로 순례를 떠나는 사람들(73쪽)'의 마음에 속절없이 공감한다. 추억이 고정되어 있는 그 시간으로 떠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의 마음이 어떤 것인지 그려보는 순간 그러지 않을 수 없을 테니까. 인간은 미래를 엿볼 수 없으므로 불안을 떠안고 모험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87쪽)는 경구를 떠올리게 하는 짤막한 이야기 역시 시간에 얽힌 우리의 현재적 모습을 반영하고 있지 않은가.
남은 이야기들 역시, 어떻게 해도 쉽게 이해할 수 없는 거대한 질서(혹은 혼란)을 곡진하게 이해해 보려 하는 아름다운 시도다. 시간이란 무엇인가를 한번쯤 철학적으로 그리고 물리적으로 이해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한 적 있다면, 기꺼이 추천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