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표지는 독자를 홀린다. 독자가 아닌 사람마저 홀릴 때가 있다. 아주 오래 전 대학생 때 북커버 디자이너를 잠시 지망했던 시기가 있었기 때문에 (그러니까 그게 언제적????).... 꽤 유심히 본다. 표지가 엄청 세련됐다고 생각한다. 이미지와 타이포그래피를 타이틀이 뿜는 의미와 아주 잘, 단단히 매듭지어놓은 그런 표지다. 그런데,
작가에게 붙은 각종 타이틀과 전적이 화려해서 기대가 너무 컸다. 음, 나쁘다고 하진 못하겠다. 그런데 세련되지 못했다. 표지처럼은. 이것 역시 아주아주 옛날에 강경옥 작가가 어딘가의 인터뷰에서 했던 말인데, 정말 하고 싶은 이야기일수록 충분히 준비된 다음에 해야 한다고(그래서 아쉬움이 남는다는 뉘앙스로 기억하지만, 틀릴 수도 있다. 말했듯 워낙 옛날에 읽은 거라). 그 말이 쟁쟁 머릿속에 울리더라.
작가가 하고 싶은 말이 뭔지는 너무 잘 이해하겠다. 시종일관 아주 우직하게 말하고 있는데다, 머리로는 공감할 수 있기 때문에 잘 이해하겠는데 그걸 전달하기에는 좀... 캐릭터가 힘이 모자랐다. 설득력이 떨어져서 아까웠다. 조금만 더 묵혀 두었다가 썼으면 훨씬 잘 썼을 것 같아서 더 아깝더라. 어쨌거나 앞으로 쓸 소설들도 기대되는 작가였다. 이 사람이 말하고자 하는 바에 공감은 가서...
충격의 대반전도 조금 무리수가 있는 듯하고요. 대반전이라고 하고 싶었으면 거기까지 이르는 길을 잘 닦았어야 했는데 덜 닦였거든요. 그러니까 비유하자면 깔끔하게 휙 뒤집은 부침개가 되어야 하는데 덜 익은 것을 초짜 부엌쟁이가 엉거주춤 뒤집어보려다 절반은 그럭저럭 뒤집어지고 남은 절반은 반죽이 깨져서 들러붙은... 그런 느낌이었습니다 orz 분명 반죽은 엄청 잘했는데... 예술적인 맛이 나올 수 있는 것이었는데, 안타깝.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까도 말했듯, 심지가 있는 이야기였고 소재도 좋고 무엇보다 누구나 심각하게 고민하고 자기 의견을 이야기하도록 불쏘시개를 당길 수 있는 이야깃거리를 꺼냈다는 점에서 훌륭하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심하게 쓴 적이 없는 것 같아서 마음이 되-게 불편한데 정말 이게 뭐지 싶은 건 아예 얘기도 안 꺼내는 법이니까요, 네.
덧.
이게 분량이 얼마나 된다고 지난 주부터 쓰다말다쓰다말다했는데 난데없는 눈 통증에 겁먹고 연이어 따라온 이상증세에 어쩐지 이것은 망막박리인것만 같다고 혼자 또 드라마를 쓰다말다하고 온라인 라이프를 모조리 접어버리고 생존에나 신경쓸까 고민도 하다가 어영부영 여기서 줄여버리게 되었다. 원래 뭔가 하고 싶은 말이 많은 책이었는데(말이 많아지게 하는 책은 좋은 책의 범주에 들어가지 않을까?) 개인적인 감정의 풍랑을 겪고 나니 아무 생각이 없어진다. 소설이 다 뭐냐, 내 사는 일이 소설 같은데. -_-;;
"자신의 이해 수준을 뛰어넘는 타인을 믿는 상황 자체를 못 견디지. 애초에 인간에게 본질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타인 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네. 그러니 우리는 더욱 이해하는 듯한 말과 행동을 반복하며 경험을 쌓아올려야 하는 거고. 그런 걸 태만히 한 자는 다른 사람을 쉽게 받아들이지 못해. 자네가 말하는 합리성은 이 경우 불합리일세. 왜냐하면 나는 나지만 타인은 타인이니." -42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