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책들은 본책보다 추천사 때문에 만져보게도 된다. 그나저나 풍월당이라니 내가 아는 그 풍월당이 맞는 것 같은데... 아련해지네.



정말 쉬울까? 의심 백만번 하고 있지만 목차만 보면 정말 쉽게 썼을 것도 같고.



맞다. 코로나때문에 뭔가 와르르 쏟아지고 뒤섞여서 다시 바닥부터 조립해 올라가야하는 형편이 되긴 했지만 그 덕에(???) 많은 부분을 제대로 고쳐나갈 수 있을지도 모른다, 라고 하면 너무 긍정적인 망상인가? 그렇더라도 이왕 이리 된 거, 이렇게저렇게 하면 어떨까 조심스럽게 제안하는 전문가들의 의견은 귀담아들을 필요가 있겠지.



윗 책과 마찬가지 이유에서 골라본다.



우치다 타츠루 교수도 나한테는 autobuy author의 한 사람이다.



구독 서비스도 한층 넓어지고 깊어지고 있는 듯. 이쯤되면 정말 너는 무슨 컨텐츠를 가지고 있니, 이 질문에 대답할 준비를 하고 있어야 한다고 아이들에게 일러주고 싶을 정도.



장류진의 장편소설??!!?!?!



'...' 이거밖에 기대평을 쓸 수가 없다. 



나는 어린시절 ET를 보고 자란 세대에 속한다. 그런데 이제는 이런 책이 나오는 시대를 살고 있구나. 격세지감은 이럴 때 쓰는 말인듯. 



이런 작가가 있다는 것도 처음 알았다. 남은 책들도 번역돼 나오기를...



아마도 사전으로 분류해야겠지. 사전과 도감 덕후의 체면이 있는데 모른 척 할 수 있을리가...



청소년 고전 시리즈란다. 어릴 때 어디 출판사인지는 기억도 안 나지만 전우치전 읽으면서 굉장히 신나했었던 기억이 새록새록하다.



라이트노벨 느낌이 완연한 표지... 를 보니 우리집에서 이게 완전 잘 먹힐 어린양이 떠오른다. ㅎㅎㅎ 제목도 걔한테 딱이네.



내용도 아주 교육적으로 중요하게 보이긴 하는데 사실 다른 속셈이 있다. 펭귄 그려보고 싶었는데 자료가 없었숴... 



아이디어를 힘 있는 컨텐츠로 바꿀 줄 아는 사람의 노하우는 나눠줄 때 챙겨가는 게 남는 장사다. 개인적인 믿음이지만.



역사를 공부하는 이유는 명확하다. 그럼 문화사를 공부하지 않을 이유는 또 무엇인가? 핵심만 가져가고 디테일은 변주하면 되는데.



장국영과 투유 초콜릿을 매칭했던 시절이 있었다. 세상에 이런 순정만화 현실 남주가 있을 수 있냐고 그 땐 생각했더랬다. 종횡사해가 내 인생 최고의 영화였던 시절이 있었다. 여전히 그를 추억하고 추모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걸 그가 알면 무슨 생각을 할까. 



다음에 연재할 당시 이건 절대 소설로 쓰지 못할 이야기라고 생각했었다. 글만으로 어떻게 이 역동적인 이야기의 디테일을 다 전달한다는 말이야. 그렇게 열광했었고 떠나보낸 작품의 뒷이야기가 나왔다. 본편을 안 보신 분들께는 정말 강권해 드린다. 



책 살 돈이 없어서 책을 못 사는 게 아니라(물론 돈도 좀 없긴 하다), 둘 곳이 없어서 못 사는 지경에 드디어 이르렀다. 아흑.



개인적인 취향 차이겠지만 이상하게도 영화 에세이는 독서 에세이만큼의 감흥을 크게 남긴 적이 그닥 없다. 이 책은 좀 기대가 된... 


가끔 예전 신간셀렉목록 뒤지다보면 이런 책도 있었지 참, 싶었던 게 되게 많다. 어휴. 요즘은 어째 책 읽는 시간보다 읽은 책, 읽고 싶은 책, 정리해야 될 책, 구입해야 될 책, 이런 목록 정리하면서 보내는 시간이 훨씬 많은 것 같다. 슬픈 현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