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 또 터진(!) 손목사고로 반깁스의 나날을 보내느라 주중엔 단 하나의 포스트도 작성을 못 했다(언젠 한 것처럼 ㅋ) 그러나... 이거 밀려놓으면 나중에 무슨 책 살지 추릴 때 엄청나게 고생하므로 간만에 등장한 독수리타법으로 메모를 한다.
난 이런 고발문학을 만나면 너무 괴로운 심경이 되어버린다. 안 그래도 유리멘탈인데, 정말 힘들다... 끝까지 맨정신으로 버티면서 이 더러운 진실을 고발하는 텍스트를 완독하는 건 사실 지독한 싸움이기도 하다. 그런데 이건 달리 말하면 읽는 자의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에게 주어진 윤리이기도 하다. 더한 고통과 싸우며 고발하기로 결심하고 그 시간을 낱낱이 되살리며 기록한 이에 대한 도덕적 예의다. 그러니까 아무리 시간이 걸리더라도 읽고, 주변의 많은 '읽지 않으며, 그래서 알 기회가 없는' 사람들에게 이러한 일들이 있었다는 것을 알려줘야 한다.

개인적인 호감이 있는 출판사. 전공시간에 미술사 배울 때는 죽어라고 열심히 안 했는데, (어찌보면 필요없을지도 모를) 지금은 왜 이것이 이렇게 흥미로운가. 사람은 왜 하라고 할 때는 안 하고 하기 쉽지 않을 때 하고자 하는 열망을 불태우는가... 이런 시답잖은 생각이 피어오른다. 이 책을 보니까. ㅎㅎㅎ

한동안 한국소설을 읽지 않았던 시기가 있었다. 한동안이라고 하기에는 꽤 길었다. 한국소설에서 반복해서 이야기되는 어떤 형식과 테마가 있었는데 나는 그게 진저리나게 싫었다(그땐 그랬습니다). 책친구들이 네가 분명 좋아할거라며 추천해주던 작가들도 됐어, 하며 거부했던 그 시기에 이 작품이 처음 나왔었던 것 같다. 이제는 한국소설을 굉장히 좋아하게 됐으며, 오래전에 내가 놓쳤을 게 분명한 좋은 이야기들도 늦었지만서도, 찾아 읽고도 있다. 이 책도 읽어야겠다.

책과 서점에 관한 앤솔로지래요... 어... 다른 이유가 필요한가...?

유령소설이라고.
어... 이 책 소개를 읽는 순간 자동적으로 떠오른 외화가 있다. 로케트가의 유령이라는 타이틀이었는데 우물에 빠져죽은 엘리라는 이름의 소녀 유령이 수십년(이 아니라 백년이 넘었나, 아무튼 거의 삼십여년 전의 기억이므로 정확하지 않다)을 건너뛰어 자기가 살다 죽은 집에 이사 온 가정의 10대 남자아이를 만나게 된다. 줄스라는 이름의 이 아이에게만 엘리가 보이는 까닭에 둘은 우정을 미묘하게 넘나드는 특별한 감정을 쌓는다. 그러나 엘리는 유령이고 줄스는 성장하는 살아있는 인간이다. 이제 이 둘은 어떻게 될까(나는 엔딩을 기억한다...). 어쩐지 딱... 딱 그 외화를 떠올리게 하는 설정인데, 재미있을 것 같은데 좀 더 우울하고 음습할수도 있고 그리고 왠지 슬플 것만 같은 느낌적 느낌.
정말 특이한 기획이다! 책 한 권으로 한 달을 산 기록인 듯하다. 한 달에 한 권의 책만 읽는다는 것은 어떤 느낌일까. 그 책과 맺는 관계의 두께와 깊이는 한 번 읽고 다음 책으로 넘어가는 사람과 같지 않을 거라는 건 너무 당연한 거고, 그냥 그런 결심을 하게 된 계기는 무엇이며 그래서 무엇을 얻었는지, 너무 궁금하게 하지 않는가.

이런 책들이 나오면 관심을 갖는 학부모가 절반, 좋은 얘기겠지만 교사와 학교 얘긴데 그들이 봐야하는거 아닌가 하는 학부모가 나머지 반일 것 같다. 아니고요. 부모가 아이를 착취하지 않는 바른 교육 실천 사례를 알아야 그것을 도입하고 적용하도록 요구할 수 있습니다. 뭘 알아야 바꿀 거 아니겠어요. 착취해서 성과라도 나면 뭐 그거로라도 면피가 될진 모르겠는데 분명 앞으로는 그거 안 될 거 확실하구요. 그러니까 공부해서 알아야 돼요. 읽읍시다. 분명 적용 가능한 부분이 있고 좀 더 기다려야 하는 부분이 있지만 모르면 아무것도 정책적으로 요구할 수가 없어요.
이 책에서 보여주는 게 바로 GRIT 그거다.
사람과 함께 사는 동물, 개... 개가 등에 진 것들은 많다. 너무 많다. 사람이 멋대로 부여한 의미와 지워 준 짐이 무겁다. 개한테 걸린 무게만큼 그 개를 데리고 있는 사람도 함께 지고 있는 게 맞을까 가끔 생각한 적 있다. 개든 사람이든, 같이 산다는 건 그런 거 아닌가?
주인이라고 하는 게 맞을지, 친구라고 하는 게 맞을지 몰라도 아무튼 동반자를 찾아 헤매는 개 이야기라고는 하는데, 그 여정 중에 만나는 사람들을 통해 개와 인간의 관계에 대해 이래저래 생각하지 않을 수 없게 할 것 같다.
아주 거칠게 요약하면 상처있는 아이가 다른 상처를 가진 아이를 보듬고 또 이들에게 손을 내미는 아이들이 서로 연대하는 이야기라고 해도 될 것 같다. 사실 상처가 없는 사람은 없을 거고 그 상처를 타인에게 상처입히는 정신승리용으로 쓸지 아니면 나와 비슷하게 아플 타인의 손을 잡아주는데 쓸지... 그건 오로지 본인의 선택이다. 그런 이야기는 아이들이 자라면서 아주 많이 읽었으면 좋겠고 어른들이 많이 들려줬으면 좋겠다.
신간훑어보기라고 하기엔 좀 민망한 것이 벌써 사버렸다. :)
네... 우린 Me Too가 필요해요. 동지가 필요하죠. 왜냐면 너무 희한한 사람들이니까, 보통 사람들이 보기엔. 그러니까 한 권씩 끼고 나도 그래요!를 외치고 싶을 때마다 펼쳐보면 됩니다. 하하하하하
유유*김겨울도 뭐랄까 뭘 따지고 있나요 그냥 결제하면 되지, 그런 기분.
소년원의 소년들과 아이들에게 이야기를 만나게 해 준 선생님이 엮은 기록들. 이야기의 힘이 어떤 것이고 교육이란 어떤 것이어야 하는지 이처럼 힘있게 말할 수 있는 사례가 또 있을까? 결국 사회는 언젠가 아이들이 운영해야 할 것인데 아이들 마음이 황폐하면 황폐할수록 결국 그 시기에 노약자가 될 우리가 막대한 손실을 입게 될 거다. 마음을 살려주는 길이 어떤 것인지 가장 진정성있게 보여줄 수 있는 책일 것이라는 확신이 든다.
나는 정말 이렇게 살고 싶었다. 포기한 부분도 많지만 어떤 지점에서, 내가 교육에서 양보할 수 없다고 생각한 것만큼은 지켜내려고 분투하고 있기도 하다. 보편적이라고 할 수 없지만 내가 가장 원하는 건, 일반적이지 않은 길을 골라 먼저 걸어간 선배들의 이야기이고 그 이야기들 안에서 배울 수 있는 것은 최대한 배우고 싶다.
생각하지 못했던 시선, 가져보지 못했던 의문을 제기하는 소설이 훌륭하지 않기는 힘들겠다. 이 소설은 그 이상의 뭔가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일요일 오후가 지나가고 있다. 더불어 1월이 지나가고 있ㄷ ... ㅏ...
2월 구정을 앞두고 다시 한 번 신년계획을 되풀이할 때가 다가온 듯... 신년계획은 언제쯤 딱 1월로 정리가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