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다 정혜윤PD의 책을 읽기 시작했는지 기억하지 못한다. 요즘에야 꽤 열심히 독서기록장을 써 두지만, 말 그대로 요즘 와서다. 예전에는 책을 읽으면 마지막 장을 덮기가 무섭게 잊기 시작했다. 아주 인상적인 몇 권이 아니고서야 망각의 바다로 사라지는 것도 운명이지 뇌까리면서(별로 자랑스럽지는 않았다). 그러나 정혜윤의 이름 석 자를 마음 속 어딘가에 강하게 새기게 한 책은 지금도 알고 있다.

이 책이 좋아서, 정말 너무 좋아서 여기에 실린 이야기들을 모두 기억하고 싶었다. 내가 아는 사람들에게 이 책이 얼마나 훌륭한지, 우리가 살아가는데 꼭 알아야 할 진리들이 얼마나 많이 담겨 있는지를 말하고 싶었지만, 정작 그 누구에게도 말하지 못했다. 좋아하는 만큼 좋아하는 마음을 표현하지 못해 실패해서 밤새 이불을 걷어찬 경험이 없을 사람은 없을 듯하니까, 내가 왜 말하지 못했는지를 설명할 필요는 없겠다.
이 책이 왜 그렇게 좋았는지, 그리고 아래에서 언급할 다른 책은 또 왜 그렇게 좋았는지를 곰곰 생각하다가 나름의 결론에 도달했다. 자기 목소리를 낮추었기 때문이다. 글쓴이의 자아가 비대하게 튀어나온 책은 껄끄럽고 불편하다. 꼭 읽어야만 하는 상황에 처했을 땐 네에네에 하고 읽지만, 뭐 어쩌라고 싶은 마음이 절로 우러나온다. 그런데 정혜윤의 책들은 희한케도 그런 톤이 없다. 그렇다고 글쓴이의 정체성이 없는가하면 그런 건 아닌데, 그림자처럼 행간에서 조용히 문장과 문장을 바느질해 이어붙이는 정도의 존재감만 있다. 줄여 말하자면 겸손하다. 그건 아마 그녀의 직업과 성격과도 관련이 있을 거다. 정혜윤은 기본적으로 타인과 그의 이야기를 존중하고 경청하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남의 이야기를 귀기울여 듣고 거기서 중요한 것을 건져 보기좋게 손질할 줄 아는 사람인 까닭에 정혜윤의 글들은 조용해도 힘이 있다. 정혜윤이 담은 타인들의 목소리가 책을 떠받치는 뿌리여서.
질문은 같아도 대답은 다양하더라는 말이 아니야. 질문은 같아도 예상을 벗어나는 말은 늘 있었어. 우리의 타인에 대한 상상력은 늘 우리를 배신해. 타인은 우리의 상상력보다 클 수 있어. 나는 예측할 수 없음에 열광하게 되었어. -23쪽
우리는 끝없이 자신을 '증명'할 것을 요구받지. 프로그램으로 기획력으로 청취율로. 아마 다들 사정이 비슷할 거야. 각종 인사고과 평가가 있고 각종 자격증이 요구되고. 이런 세계 속에서 우리는 자신을 설명하고 자신을 방어하느라 정신이 없지. 그러나 증명이 우리를 끝없이 강박적으로 만든다면 반대로 우리를 끝없이 풍요롭게 만드는 세계가 있어. 그건 '발견'이야. 사람들의 목소리에서 놀라운 것을 발견할 때가 있어. -53~54쪽
우리는 어떤 가능성의 사람들일까? 어떤 잠재력을 가지고 있었을까? 우리는 누구일 수 있었을까? 혹시 내가 보고 있는 사람이 또 하나의 모차르트일 수도 있었을까? 기회를 갖지 못한 셰익스피어나 링컨일 수도 있었을까? 확실한 것은 말이야. 누군가를 알아본다는 것은 천국과도 같이 대단한 일일 거란 거야. 누군가에게 천국 한 채를 지어주는 거지. -68쪽
그분은 이렇게 물었어요. '정 피디, 브람스 좋아해요? 브람스 교향곡 4번 4악장. 변주만 서른 번에 이르는 4악장. 파사칼리아의 무한한 변주. 정 피디는 정 피디 인생의 중요한 모티프를 서른 번 변주할 수 있나요?' -182쪽
우울증을 이겨낸 두 번쨰 방법은 동화책을 읽는 거예요. 어려서 아이들에게 읽어주던 것들을 다시 꺼내서 읽기 시작했어요. 그러면 어린애들에게 동화를 읽어주던 엄마의 마음이 다시 찾아와요. 동화책 읽을 때 제 자식 잘못되라고 읽어주는 사람 없잖아요. 제 자식 잘되길 바라는 사람은 자기 삶도 대충 살지 않잖아요. 내가 이러면 안 되잖아 생각하잖아요. 피곤해도 힘내잖아요. 그 마음이 살아나더라고요. -293쪽
이슬아는 그의 인터뷰집 「깨끗한 존경」에서 이 책의 어떤 페이지를 통째로 외웠다고 말했다. 그 부분이 너무 좋아서(그게 뭔지는 당연히 책에 나온다) 그렇게 했다고 한다. 사실「마술 라디오」에도 비슷한 이야기에 대한 언급이 프롤로그 부분에 나오기는 한다.
정혜윤의 책에서 반복적으로 언급되는 몇 가지 핵심 낱말들이 있는데, 정혜윤이 살아내는 낱말들의 목록의 최상위단에 올라있는 게 틀림없다. 그 중 다른 하나는 확장이다. 인간을 한 두마디의 낱말로 축소시키지 말자고 말한다. 누구에게나 남에게 들려줄 수 있는 이야기가 있음을 말한다. 타인과의 거리감을 좁히고 싶어한다. 타인도 나와 다를 것 하나 없는 똑같은 인간이라는 점을 열심히 설득하려 한다. 본질적인 것을 놓치지 말자고, 우리 안에 존재하는 타인과 타인에게 존재하는 나를 잊지 말자고.
그래서 우리의 가장 아름다운 미래는 우리의 가장 아름다운 얼굴을 닮아가는 거야. 우리 자신이 보고싶은 미래 자체가 되어가는 거지. 그래서 내가 '가장 아름다운 날은 아직 오지 않았다'고 말할 때 내 마음속의 생각은 우리가 변화해야만 그날이 온다는 것이었어. 우리가 변화해야만 세상이 아름답게 바뀐다는 말이었어. 이것이 희망을 이 사이에 넣어둔다는 말이야. 희망은 별처럼 먼 곳에 있지만 그 별을 입으로 옮겨놓는 거야.
하지만 글이 여기서 종료된 것은 아니야. 아직도 할 말이 많아. 죽은 사람과 죽은 사람을 연결하는 우편배달부 역할을 했던 존 버거는 내게 영감을 줬어. 나는 '살고 싶어 하는 자'와 '살고 싶어 하는 자'를 연결하는 우편배달부가 되고 싶어. 우리는 아직은 오지 않은 아름다운 미래에서 다시 만나게 될 거야. -24쪽
해마다 우린 다시 시작하자고 다짐을 하지. 다시 시작하자는 말은 몇 번이고 다시 태어난 것처럼 그런 결단으로 다시 듣고 보고 행해보자는 말이야. '다시'라는 말 아름답지? 아름다움의 역사에 가장 먼저 포함시킬 만한 단어야. 우린 몇 번이고 반복하면서 조금씩 조금씩 움직이는 거야. 조금 더 자유롭게 조금 더 힘 있게. 우리가 맺는 관계가 바뀐다면, 혹은 관계를 맺는 방식을 바꾼다면, 세상도 바뀌어, 이건 진리야.
우리 모두가 서로서로 눈을 뜨게 하는 관계로, 서로 쉼터가 되는관계로, 서로 안고 있는, 서로 팔베개를 해주는 관계로 존재한다면 그 미래는단지 미래뿐이 아니라 현재와 과거까지도 바꿔놓을 거야. 우리는 손에 손을 잡고 미래를 가리키는 화살표, 이정표가 될 거야. -30쪽
그런데 이 말은 우리 이야기로 돌아가보자면 '나에게는 수많은 눈이 있다. 그래서 외로울 틈이 없다'라고 고쳐도 됩니다. 수많은 눈이 있다는 것은 근심 걱정하고 슬퍼하고 기뻐할 일이 많아진다는 뜻도 됩니다. 그런데 진짜 외로운 것은 나 말고 달리 걱정할 사람이 아무도 없는 것입니다. 나 말고 다른 사람을 나처럼 걱정하는 것이 얼마나 의미있는 일인지는 사랑하는 사람을 잃어본 사람이라면 잘 알고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20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