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을 수 없는 존재의 얄팍함쯤 되려나 

10주년 개정증보판이란다. 10년이면 듬직하게 자리를 지키고 앉았던 강산도 변하는 세월이라는데 디지털 환경은 10년이면 천지개벽쯤 되나. 모르겠네. 진단은 너도나도 하고 계셔서 처방전을 좀 보고 싶은데, 설령 그게 되도않는 헛소리에 가깝더라도 '대안'을 논하는 책들이 더 많이 나와주길 기대한다. 



사람들을 만나고 나와 그 사이에 시간과 대화를 쌓아갈수록 직접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할 때보다, 빗대어 전할 때 효과를 보는 경우를 많이 겪었다. 호소력있는 비유는 어떤 것일까, 귀에서 흩어지지 않고 마음으로 파고드는 이야기는 어떤 것일까. 표지와 소개글만 봐도 호감이 가는 책들이 있는데, 이 책도 바로 그렇다. 



위즈너의 그림책은 항상 재기발랄하다. 그의 책을 읽는 아이들의 시선은 항상 허공으로 떠올랐다가 오른쪽으로 향한다. 멀리 공상의 여행을 보냈다가 늘 집으로 안전하게 데려다주는 마음씨 좋은 아저씨라고나 할까. 



책 소개글을 읽다가, 문득 김중혁 작가의 「내일은 초인간」이 떠올랐다. 지구를 구하고 악당을 쳐부수는 능력이 아니라, 남들이 들으면 그래서 그게 뭐? 그걸로 뭐 해? 라고 물을 법한 시시한 초능력의 소유자들. 여기에도 정말 이걸 갖고 뭘 하게 되는 걸까, 싶은 소소한 능력을 가진 50대 아줌마가 나온다고. 그러고보니 우린 모두 대단하게 써먹을 정도는 아니어도 남들이 보면 그런 것도 할 줄 알아? 하는 쬐그맣고 시시한 능력 하나쯤은 있지 않나?



동네에서 나름 유별난 엄마로 소문이 난 것 같다. 아이들 교육에 관심이 없어도 이렇게 없는 엄마가 있나 하고. 오죽하면 중2님이 자긴 그냥 공부만 하면 나머지는 엄마가 다 알아봐주고 세팅해주는 애들이 세상에서 제일 부럽다고, 한 번은 대성통곡을 했더랬다. 자기는 진짜 잘 하고 싶은데 뭔 엄마가 이러냐고. 아닌데... 엄마도 교육에 관심이 많아요. 그저 모든 조건을 갖춰주지 않을 뿐이지. 내가 원하는 조건이 다 주어지는 경우는 0에 가깝고 목표를 이루기 위한 시스테믹한 환경을 조성하는 건 네가 스스로 배양할 능력이지 부모가 만들어다 바치는 게 아니라고 일장연설을 늘어놨더니 아무도 안 할 것 같은 걸 왜 내가 먼저 해야되는데! 라고 절규한다. 따샤... 원래 선구자는 외롭고 괴로운 법이야. 다만 엄마가 해줄 수 있는 건 책을 물어다 주는 것뿐. 잘 배우려면 질문을 잘해야 한다. 

믿는 출판사이고, 괜찮은 목차가 보인다. 



처음에 이 아이디어를 키웠던 사람이 누군지는 전혀 모르겠다. 하지만 분명히 있었다. 책을 처방한다는 아이디어를 소중히 키워 싹을 틔웠던 사람. 이게 꽃이 피니 향이 꽤 좋았고 사람들이 좋아하니 너도나도 가져다 키우기 시작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런 기획물도 나왔다. 나는 이런 책을 좋아한다. 좋아하지만, 누구나 쓰고 있다고 해서 나도 써야지- 가 나쁜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아무도 몰랐을 때에 이 가냘픈 아이디어를 처음 보살펴 키워 퍼뜨린 누군가에게 고마워하는 마음을 가지면 좋겠다.



전에도 쓴 적이 있다. 도감을 좋아한다고. 이 집에서 도감을 좋아하는 건 나 하나뿐이 아니어서 온 집안 구석구석에 온갖 종류의 도감이 있는데, 이 책을 보자마자 혼자 중얼거렸다. 당신이 승자입니다. ㅎㅎㅎ 폐허도감이라니 상상도 못 했다! 



책 제목이라는 게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다. 반려도서 레시피라.... 담당 편집자님의 센스일 것 같은데 박수 보내드립니다. 진짜 눈길이 확 갔어요. 되게 친숙한데 살짝 낯설어... 내용도 궁금하고. 



창문은 여러가지로 의미심장한 뜻을 담고 있다. 창문을 통해서, 우리는 무엇을 보고 무엇을 상상하고 무엇을 그리워하고 무엇을 이야기할까. 



어제 츠지무라 미즈키의 「거울 속 외딴 성」을 다 읽었는데, 꿰어맞춘 솔기가 보이지 않는 장인의 솜씨라고는 말 못 하겠지만 아무튼 좀 감동받았는데 마침 신간이 나왔다고 한다. 그러나 집에 읽겠다고 사다 쌓아놓은 책이 다시 산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당분간은 못 본 척 하기로 한다. 



김민식 PD님만큼은 아니지만 장강명 작가를 좋아하기 때문에, 장작가님이 요조님과 더불어 동명의 팟캐스트를 진행하실 때 열심히 들었다. 그리고 어쩐지 예전에 애청하던 팟캐스트의 전철을 밟는 느낌으로... 유튜브에 양다리를 걸면서 프로그램은 그만 내 흥미를 잃게 해버렸다. 팟캐스트는 그냥 끝까지 팟캐스트로, 유튜브는 끝까지 유튜브로 남아줬으면 좋겠는 바람이 있다. 왜 자꾸 내 것이 아닌 영역을 넘보면서 원래 갖고 있던 매력까지 갖다 버리시는 거예요 도대체들... 



내게도 두어 개의 책모임이 있었다. 과거형인 이유. 하나는 내가 그 장소를 떠나오면서 온라인 모임으로 바뀌었기 때문이고, 다른 하나는 코로나때문에 떠나있는 동안 흐지부지 되어버렸기 때문이다. 요즘은 그 모임들이 되게 많이 그립다. 혼자 읽을 때보다, 누군가와 같이 읽을 때가 더 좋았고, 함께 이야기할 때는 더 좋았다. 



학교 다니면서 내가 제일 싫어했던 과목은, 수학일 것 같지만 의외로 역사가 더 싫었다. 수학은 그 안에 나름의 미학이라도 있지 역사는 뭐냐 이게... 왜 인간사의 가장 추잡스럽고 혐오스럽고 기타등등한 실패들을 배워야 할까, 그 어린 나이에 그렇게 생각했었다. 지금은 그렇게는 생각 안 하지만, 그래도 역사가 좋지는 아니하다. 그러나... 그러나 이 집에서 가장 말이 많고 맨날 매시간 대화를 요구하는 2인이 역사광인데다 번번이 뭘 모른다고 무시당하는 것도 분해서 -_-;; 공부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한다. 



그래, 나이가 뭔 상관이야, 공부해야지. 

갑자기 6학년 둘째가 어젠가, 당당하게 외쳤던 한 마디가 생각난다. 

엄마, 난 정말 공부에 취미 없어. 공부하라고 좀 하지 마. 


옆에서 듣던 중딩이 언니가 심각한 표정으로 말했다.

야, 세상에 우리 엄마처럼 대책없이 공부타령 안 하는 엄마도 없어. 그런 엄마가 공부 좀 하라고 할 정도면, 니가 진짜 심각하게 아무것도 안 하는 거얌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