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 딸아이와 요즘 스릴러와 미스터리 뭐가 재미있는 게 있을까 열심히 알아보면서 목록을 만드는 중이다(이건 나 혼자). 한참 미스터리에 맛들인 아이는 책을 읽고 난 뒤에 같은 책을 읽은 사람과 얘기하는 맛을 알아버렸는데, 무턱대고 이거 재미있다더라 하기엔 요즘 스릴러나 미스터리나 수위 높은 게 너무 많아서 거르는 작업이 필요하다(=내가 사전독서를 해야 한다 ㅠ.ㅠ). 근데 이건 YA인 듯하네.



아이 이야기를 하게 되는데 얘랑 내가 제일 좋아하던 프로그램이 알쓸신잡이었다. 공통의 경험(화제)를 놓고 자신의 전문적인 분야와 관심사에서 해당 주제에 대해 치열하게 이야기하는 세팅을 둘 다 몹시 좋아한다. 이 책은 어떨까?



책 소개는 안 읽어봤다. 제목만 보고 내가 평소에 갖고 있던 희망사항과 싱크로율이 너무 높아서... ㅎㅎㅎ 

다만 나는 편안한 자연사를 위해서 그저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하고 있을 뿐이다. 규칙적인 운동(요즘은 쉽지 않다), 몸에 나쁜 음식 덜 먹기(안 먹기는 불가능한 목표다), 화가 뻗치는 일이 있어도(주로 화를 일으키는 사람은 정해져 있다) 웃고 넘기기(맨날 같이 있으니까 이것도 좀 불가능해지고 있다). 그러니 작가에게 이것은 꿈인지 목표인지도 궁금해진다. 



이런 제목을 제일 싫어한다.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세상에서 제일(가장)을 붙이는 걸까. 심지어 원제는 그냥 The Cartoon Guide to Biology 인데. 하아... 제목은 진짜 마음에 안 드는데 출판사는 좋아하는 출판사다. 왜 그러셨나요... 혹시 편집자는 안 된다고 극구 말렸는데 윗분이 밀어붙이신 걸까요... 갑자기 심술 발동해서 '세상에서 가장'으로 알라딘 검색도 해봤음. 결과는 뭐... 

여하간, 책은 좋은 책일거라 확신한다. 제목에 실컷 태클 걸어놓고 이런 말 하는 게 우습긴 하지만.



이런 책의 문제점은(책이 가진 문제점이 아니라), 이런 책을 꼭 읽어야 될 분들이 안 읽고, 안 읽어도 크게 사회나 환경에 해를 안 끼치는 분들이 열심히 읽는다는 거다.



좋아하는 분들이 쓴 책인데 안 읽을 수가 없겠다. 그런데, 읽다 보면 되게 화가 나고 슬퍼지고, 그럴 것 같다.



이렇게 '왜?'를 떠올리게 하는 책은 당연히 펼쳐보고 싶다. 



이번엔 진짜 엉뚱한 이유다. 표지에 완전히 꽂혔다. 더불어 갑자기 아이에게 '오늘의 엄마'를 표상하는 물건이 뭔지도 묻고 싶어진다.



흥미진진한 주제다. 게다가 엄기호 선생님과 다른 한 분(제가 아직 잘 몰라서, 죄송합니다)의 대담집이다. 무슨 이야기가 오갔을까, 당연히 알고 싶다. 시의적절한 이야깃거리고 논의거리다.



진짜, 난 왜 이렇게 변방의, 작은, 많은 사람이 알지 못하지만 누군가가 말해주고 싶어하는 것들이 이렇게 좋을까.



이 책이 번역되어 나왔구나. 이건 정말 누구에게나 선물용으로 완벽한 책이다. 가볍지 않은데 가볍고, 심플한데 진중하고, 뭣보다 생각으로 채워야 할 여백이 많다.



색상도감같은 책이랄까. 그냥 아무 생각없이 부르는 대표적인 색의 이름 안에 얼마나 많은 다른 빛과 그림자가 혼색되어 있는지를 저절로 알게 해 준다. 이런 책은 나이가 어리면 어린대로, 있으면 있는대로 각기 다른 종류의 깨우침을 준다.



교황님이 추천하셨다고 하셔서. 남편은 천주교 신자지만 나는 아니다. 그렇지만 지금의 교황님은 존경스러운 분이라고 생각한다. 독서생활에 한해서 믿고 따르는 사람이 추천했다면 덮어놓고 보고 싶어지는 책이 있는 것과 비슷한 경우다.



현실이 마음에 안 들 때, 가끔 책으로 도피할 수는 있어도 결국 우리는 발 딛고 사는 공간으로 돌아와 삶을 지속해야 한다. 그러니 머무는 곳, 대부분의 경우 도시인 그 공간을 좀 더 살 만한 곳으로 가꾸는 일에 관심을 갖는 일은 중요하다.



그 유명한 <사서함 110호의 우편물>도 읽어본 적이 없다. 그런데 도대체 어떤 글을 썼기에 그의 소설을 그렇게나 사랑하고 아끼는 사람이 많은지 궁금하긴 되게 궁금하다. 이왕지사 읽어볼 마음을 낸 거 최신작부터 역주행해볼까 하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