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랑 피 블루픽션 (비룡소 청소년 문학선) 49
메리 E. 피어슨 지음, 황소연 옮김 / 비룡소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가 좋아하는 어떤 독서가이자, 아이들에게 책을 읽어주는 일에 사명감을 갖고 있는 어떤 엄마가 본인의 책에서 이렇게 썼습니다. 좋은 책은, 그 책이 어떤 책이건 간에 나이에 상관없이 독자에게 끊임없이 질문합니다. 그것도 쉽게 그러하다, 아니다로 대답할 수 없는 질문을요. 

YA- young adult, 우리나라에서는 그냥 '청소년 소설'이라는 범주로 묶고 있는 듯한데, 이 카테고리에 속하는 소설은 막상 제가 그 연령대였던 시절에는 그렇게 주목받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아니, 아예 그런 이름이 없었던 것도 같고요. 즉 청소년 소설이라는 걸 성인이 된 지 한참 지나서 제대로 읽어보게 됐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니까 본의 아니게 약간 '......' 하는 마음이 없었던 것도 아닐 거예요. 그런데 앞서 이야기한 분의 말마따나, 좋은 이야기는 그것이 누가 읽었으면 좋겠다라고 상정하고 쓴 작가의 의도가 있다 하더라도 누구에게든 호소하는 바가 있더군요.


이 책에는 서스펜스가 조금, 아주 약한... 소금간 정도의 서스펜스가 들어 있습니다. 딱 아이들이 감당하기 적절한 수준으로요. 어디까지나 교과서적인 '청소년' 얘기지, 현실의 청소년 감각으로는 서스펜스라고 부르기도 유치할지도 모르겠지만요. 

이야기는 어떤 치명적인 사고를 당한 뒤 일 년 반의 혼수상태에서 깨어난 주인공 소녀가 주변 세계를 탐색하고 재인식해 나가는 과정을 서술하면서 시작됩니다. 기억이 통째로 날아간 주인공 제나는, 도대체 왜 어떤 것들은 이토록 생소한지, 그리고 왜 갑자기 어느 순간에는 기억이 물밀듯 차 올라오는지 의아해하면서도 천천히 다시 세상에 적응해 나가는 법을 배웁니다. 

그러면서 의문이 쏟아집니다. 왜, 왜 저것은 저렇지? 이건 이래야 하는 게 아닌가? 그리고, 가끔씩 들려오는 듯한, 머릿속에서 울리는 것 같은 환청 같기도 하고 절규 같기도 한 이것은 뭐지? 제나는 혼란스럽습니다. 나는 아직도 세상을 다 기억해내지 못했는데. 간헐적으로, 그러나 폭발적으로 쏟아져 나오는 기억은 제나를 더 어지럽게 만듭니다. 제나는 지그소 퍼즐처럼 흩어져버린 기억의 파편들과 자신을 바라보는 '시선'과 '반응'들로 자꾸 자신을 괴롭히는 뭔가를 유추해 나갑니다. 


청소년 소설이니까 그 과정이 복잡한 것도 아니고 대단한 반전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여전히 충격적입니다. 사랑을 옳고 그른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을까요? 그렇다면, 그 평가의 잣대는 뭘까요. 사랑이 왜곡되기 시작했다면 그건 어느 지점부터인지 누가 말할 수 있을까요. 자식은 부모의 사랑에 응답할 의무가 있을까요. 부모는 자식에게 어디까지 할 수 있는 걸까요. 


결정적 스포일러가... ▼

 

나를 이루는 것은 무엇일까요. 마음이 기거하는 곳은 어디이고, 마음이 사라진다면 생명은 의미가 없는 걸까요? 신체와 정신이 정체성의 지분을 똑같이 나누어 갖는 걸까요? 어느 쪽에 무게가 더 실리지는 않을까요.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면, 꼭 선택해야만 한다면, 현재의 '나'를 더 많이 점유하고 있는 것은 정신일까요, 신체일까요.


사랑과 집착의 경계는 어디에 자리하고 있을까요?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허용되는 행위의 한계는 어디까지일까요.


백업을 없애려는 제나와 제나를 지원하는 릴리, 백업을 보존하려는 제나의 부모. 어느 쪽이 인간적이라고 봐야 할까요.

원본이 아니지만 고유해지고자 하는 제나의 욕망. 그건 인간적일까요? 제나는 인간일까요? 


'나'는 '나'의 영역을 어디까지 손대고자 하는 타인(부모 포함)의 욕망을 인정하고 수용할 수 있을까요?


여기까지가 제가 떠올린 의문입니다. 아마 퍼낼 수 있는 질문은 더 많을 거예요. 


이 책은 정체성과 고유성, 개별성에 대해 끝없는 의문을 불러일으킵니다. 어떤 것도 쉽게 대답할 수 없어요. 좋은 질문을 던지는 책을 좋은 책이라고 한다면, 거기에 완벽하게 부합하는 책입니다. 

 

펼친 부분 접기 ▲


많은, 정말 많은 말할 거리와 생각할 거리가 들어 있어요. 중학생 이상의 아이에게라면 꼭 추천하고 싶고요. 자아정체성에 대해 가장 많은 고민을 할 나이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