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살지 않는 골짝에서도 꽃피어 향기롭거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꽃이 피었다.

네 안에

밝은 빛이

숨어있었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겨우 요것 달았어?

최선이었어요

...

그랬구나...

몰랐어.

미안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랑스러운 이라크 아이의 웃음

이라크는 자유롭다.

그냥 내버려두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용서'라는 것은 용서를 안 해도 되는 강자가 할 수 있는 자기 선택이지, 선택의 여지가 없는 약자가 자청해서 할 수 있는 미덕이 아니다. 용서란 승자가 베풀 때에는 도덕적 위대성을 과시하는 미덕일 수 있지만 패자가 부르짖으면 꼴불견이 된다. 비굴의 자기기만일 수가 있다. 작금의 대일관계에서 마치 국민적 성숙의 표시처럼 고창되고 있는 '잊지는 말되 용서하자'는 캐치프레이즈는 40여 년 전 진주만 기습 공격서건을 놓고서 미국 국민이 일본인에 대해 화해의 정신으로 한때 유행했던 슬로건에서 착상된 것 같다. 그러나 분명히 가려서 생각할 일이 있다. 피해자이면서 승전국인 미국인들은 패전자이자 과거의 가해자인 일본에 대해서 과거를 잊지 많아도 되고, 용서를 안 해도 됐지만 그렇게 한 것이다. 열등한 자의 강요당한 망각과 관용이 아니라 우월한 위치에서의 자발적 선택이었던 것이다. 그렇게 때문에 그 정신에는 도덕적 우월함이 있다. 식민지시대는 접어두고라도, 행방 후 지난 40년간에 형성된 한일 두 나라의 현실적 지위 관계에서 우리가 어설프게 과거를 '잊자'니 '용서하자'고 말할 수 있게 되었는가? '용서하지 말자'는 주장이 아니다. 용서의 의미가 없다는 말이다.

리영희, [분단을 넘어서],  한길사, 1984. 49쪽.

강준만 편저, [한국 현대사의 길잡이 리영희] 개마고원 2004. 153쪽 재인용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