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 따라 여백 찾아가는 길
곽의진 지음, 허용무 사진 / 그림같은세상 / 2002년 5월
평점 :
절판


아래 리뷰 쓰신 분이 제목과 책이 어울리지 않는다고 지적한 데에 공감한다. 아주 안 어울리는 건 아니지만 좀 포괄적인, 철학적인 제목 같다. 하지만 책은 잘 읽었다.

책을 빌린 건, KBS 인간극장에 저자가 나왔던 참에 내가 보고 있던 책에 이 책이 광고로 나와 있어서 도서관에서 찾아 봤다. 찾고 보니 예전에 본 듯한 표지다. 예전에 조금 보고 재미 없다고 안 읽었던 것 같다. 그런데 지금 다시 이 책을 만나니 참 재미 있다. 그 사이 나는 의재 허백련 책을 읽었고, 다산 초당과 백련사를 여행 갔었고, 옛그림에 관심이 많아졌고, 진도의 씻김굿에 더 관심이 생겼고, 인간극장에서 '곽의진'이라는 여자를 봤기 때문이다.  

아래 리뷰에 나온 것처럼 이 책엔 여러 가지가 담겨 있다. 이 책을 밤마다 조금씩 읽으며 나는, 글쓰는 사람의 습성을 보고-답답한 마음에 독한 술을 마시고 차를 몰고 나가 쏘다녀야 풀리고 그러다 면허 정지를 당하기도 하고 골이 쪼개질 듯한 직관에 맞닦뜨려 심지어 혼이 씌여 글을 쓰기도 한다. 그리고 진도도 여행하고, 진도에서 벌어지는 씻김굿 한 판을 다 보기도 하고,  남종 산수화를 이은 화가들도 만나고, 삼별초 항쟁, 다산 정약용, 초의 선사를 만나기도 했다. 남도 출신의 곽의진이 찾아 다니고 마음에 품은 남도를, 유산으로 문화로 살아 있는 남도를 만날 수 있다.

우리 아버지의 고향을 갈 때면 진도를 관통해 그 끄트머리에서 배를 타고 가곤 했다. 그렇게 지나쳐 가며 언젠가 이 섬을 여행해 보리라 생각했다. 들과 산이 야트막하게 선을 이어 포근한 그 섬의 풍경 말고도, 이 섬에 뭔가 있다는 느낌이 들곤 했다. 이 책을 읽고 이제 그 느낌의 실체를 좀 알 거 같다. 진도에 더듬이를 향하고 있다가 때가 되면 여행해 보고 싶다.

 그리고 문화지방자치. 삼별초 항쟁으로 <진도에 또 하나 고려가 있었네>라는 연극을 쓰며 첫머리에 쓴 글을 보고 많은 생각을 한다.

"진도는 6개의 민속음악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민속의 본향이다. 이 창극에서 진도인이 온몸으로 불렀던 노래와 춤, 진도인의 문화와 진도인의 품성, 진도의 정서를 담아 진정한 진도의 예술을 널리 알리고자 한다.

(중략) 덧붙여 욕심을 내자면 중앙에서 이름을 떨치고 있는 기성인을 투입시켜 극을 만들지 않고 순 진도에서 흙을 파고 논을 갈고 바다 밭을 일구면서도 진도 것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진도인의 숨겨진 예술에의 끼를 발굴하고자 한다. 또한 진도인의 정서와 토양에 배합되는 진도인끼리 만들어 역으로 중앙에 알리고자 한다. ... 이런 일이야말로 진정한 문화지방자치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드무비 2006-02-15 13: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인간극장 보면서 저 여자 이름으로 나온 책이 있는지
찾아봐야겠다 했어요. 그래놓고 깜빡.
보관함에 담습니다.^^

낯선바람 2006-02-16 14: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무비님도 인간극장 보셨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