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훈규 오버그라운드 여행기
박훈규 지음 / 한길아트 / 2007년 6월
장바구니담기


새미와 유진
이번 여행에서 신기하게 연락이 돼서 신세를 지게 된 친구와 친구 남편이란다. 같은 곳 앞에서 따로 찍은 사진을 나란히 두니 재밌다^^ 두 사람의 느낌이 참 좋다.

레드 하우스
윌리엄 모리스라는 예술가의 신혼집이자, 스스로 '지상낙원'이라 부른 그의 공방이라고 한다. 가정집과 아티스트의 작업 공간이 섞여 있는 공간 활용이며, 가구, 벽지 그 밖의 모든 것을 그와 친구들이 직접 만들었다는 점이 저자의 눈길을끌었다고 한다. 1859년에 지은 참 멋진 집이다^^

책 표지에 나온 <북쪽의 천사>라는 거대한 작품.
높이 20미터에 날개가 54미터. 그것의 전체 모습은 이렇다고 한다. 거센 바람 속에 들판에 서 있기 위해 천사의 발밑 땅속에는 165톤의 콘크리트가 20미터 깊이로 먼저 시공되어야 했다고. 이걸 보는 순간, 문득, 겉으로 뭔가를 이루기 위해 오랜 세월 내공을 쌓아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윌리엄 모리스의 캠스콧 매너로 가는 길
대중교통편이 불편해 어찌어찌 가게 된 그 과정이 재밌었다.
옥스퍼드 역에서 택시로 가려고 가격흥정을 하는데 기사들이 거기가 어딘지도 모를 뿐더러 구경거리가 되어 버렸다. 결국 일단 버스로 가는 데까지 가보자 하고 패링던에 내렸더니, 그 작은 동네에 여행안내소가 있었고 친절한 할머니의 안내로 잘 찾아갔다고 한다. 얼마 전 개심사 찾아갈 때 길 물어물어 가던 일이 생각나 무지 반가웠다^^

웨일스 밀레니엄 센터
웨일스출신 시인 기네스 루이스의 시구를 건물 전면에 이따만하게 새겨놓았단다. 우와~~~ 그리고 건물 2층 3층에 걸쳐 글이 새겨진 부분이 까페와 레스토랑이어서 밤이면 건물 내부에서 새어나오는 불빛으로 멀리서도 시구를 읽을 수 있고, 까페의 창문으로도 사용된다고 한다. '건물 그 자체로 한 편의 시이고, 노래하는 구릿빛 쇳덩어리'라는 표현대로 정말 멋지다!!

카디프 곳곳에서 볼 수 있는 조형물
<어머니와 아들>이라는 작품. 아이의 손을 잡고 묵묵히 서 있는 어머니의 모습. 이런 것이 진부한 소재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평범한 소재를 하나의 예술품으로 당당히 재현해 낸 작품이 많은 생각거리를 주었다고 한다. 일상이 모여 역사가 되고 평범한 아이디어가 모여 새로운 디자인의 근원을 만들어내는 법이라고.

오호~~ 너무나 즐거운 동상이다. 보는 사람도 절로 이런 포즈를 취할 거 같다^^ 에릭 모어캠이라는 코미디언의 추모 공원에 있는 그의 동상이란다. 모어캠(이름이 같다)의 해변에 있단다.

에필로그에 있는 사진이다.
여행을 다니며 가장 많이 거쳐 가는 곳이 정거장인데, 여자친구를 두고 떠나서인지 심수봉의 <남자는 배 여자는 항구>가 떠올랐다고. 글래스고 뷰캐넌 스테이션에서 이 작품을 보고 눈시울을 적셨다고 한다. '사랑한다면 떠나보낼 수 있다. 그리고 돌아와서 그 빈자리를 더 아름답게 채울 수 있다' 여자친구도 박훈규 씨도 참 멋진 사람들이다^^
작품: 존 클린치

전작인 언더그라운드 여행기를 읽고 이 사람한테 굉장히 매력을 느껴서 이번 책도 아주 기대가 됐었다. 그리고 그 기대는 완전 충족됐다. 북쪽의 천사라는 작품을 뉴스 기사로 보고 언젠가 저걸 보러 가리라 하고 정말 찾아 떠난 사람. 나도 그런 성향이 있어서 동지감이 느껴졌다^^ 이번 책에 현대 예술에 대한 얘기가 많은데 새로운 작품을 찾아서 보고 느끼고 의미를 짚어내는 모습에서 느껴지는 열정, 그게 좋고 참 부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