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 그리고 가정 - 평등을 향한 여성들의 기나긴 여정, 2023 노벨경제학상
클라우디아 골딘 지음, 김승진 옮김 / 생각의힘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별소득격차의 추이를 약 100년 간의 통계자료를 검토하여 제시했다. 대졸자 중 여전히 성별에 따른 소득격차가 있다는 점, 신자유주의 체제에서 빈부 격차가 커진 원인이 남성 고소득자의 소득 증가임을 제시했다는 것은 유의미하다. 정책 결정권자로 누구를 선택할 것인가에 대한 시사점이 있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건수하 2024-05-24 14:1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걸 쓰느라 유수님 댓글과 내가 달았던 댓글이 지워진 모양이다. ㅠㅠ

(귀찮아서 안 쓰려 했는데) 100자평을 짜낼 수 있게 도와주신 유수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유수 2024-05-24 14:16   좋아요 1 | URL
짜낼 수 있을만큼 건조하지 않다는 것을 알라디너들에게 전한다.

건수하 2024-05-24 14:17   좋아요 2 | URL
... 유수님 두번째 댓글 못 읽었어요.

‘두껍고 재미있지는 않다 + 뾰족한 대책은 없다‘ 그러나 읽어볼 만 하다- 로 참고해주세요.. ^^

유수 2024-05-24 14:18   좋아요 3 | URL
알겠어요 촉수하님🫡

단발머리 2024-05-26 21:4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신자유주의 체제에서 빈부 격차가 커진 원인이 남성 고소득자의 소득 증가임을 제시했다는 것은 유의미하다.

이 부분이 딱 꽂히네요. 하는 일 없이 한여름에도 슈트 위아래로 한 벌 입는 남자들의 월급이 너무 많다고 생각하는 1인입니다.
저도 있어요, 이 책ㅋㅋㅋㅋㅋㅋㅋ친구가 선물해줬는데 내내 미루고 있네요.

건수하 2024-05-27 09:30   좋아요 1 | URL
정책결정권자도 대체로 겹치니까요... 내용이 많았는데 100자평은 쓰기 힘들었습니다 ㅎㅎ
<돌봄과 연대의 경제학> 읽으면서 이것도 같이 읽었는데, <돌봄과 연대의 경제학>이 참 어려웠어요. 단발머리님은 잘 읽고 쓰실 수 있을 것 같아요. (읽고 써주세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