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장 <가부장제 정의하기> 에는 딱히 인상적인 내용이 없었고
3장에는 얼마 전 끝난 총선이 진행되는 과정을 보며 들었던 생각들을 정리해주는 뼈때리는 통찰이 많았다.
그래서, 어떻게 해야 하는가? 에 대한 답을 직설적으로 제시하려고 하는 책은 페미니즘 공부하며 처음 읽어보는 것 같다.
그래서 기대가 된다.
계급 구조는 우리가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는 비인격적인 힘이 만들어낸다. 이념적 혼란이나 허위의식은 개인이 받을 자격이 있고 받을 자격이 있는 것을 받았다는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 P78
식민지 지배를 경험한 국가에서는 보통 다른 국가와는 다른 계급 동학이 전개된다. - P86
여성과 성소수자, 청소년은 실현 가능한 더 나은 선택지가 나타날 때까지 가부장적 제도가 강요하는 고통을 인내한다. - P94
번성하는 집단은 집단에 충성하는 구성원에게 보상이라는 특권을 주지만, 뒤처지는 집단은 충성에 따르는 희생이 크기 때문에 구성원의 헌신을 끌어내기 어렵다. - P95
이해관계와 정체성은 보통 나란히 간다고 봐야 한다. - P96
미국의 페미니스트 이론은 역사적으로 상대적으로 부유한 백인 여성의 상황에 초점을 맞췄다. 이 관점은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는데 ‘여성과 유색인종‘이 마치 상호 배타적인 개념인 것처럼 지칭했던 과거의 용법에 잘 드러나 있다. 이 개념적 오류는 단순히 도덕적 권고로는 화해할 수 없는 충돌하는 이해관계의 힘이 상당하다는 것을 입증한다. - P102
집단 정체성에 기반한 분열이 없었다면 계급의식과 집단행동을 훨씬 더 쉽게 쟁취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 P103
하위집단이 구조 변화에 힘쓰는 것은 인정과 재분배 둘 다를 얻기 위해서이다.
교차성은 제도를 바꾸기 위해 캠페인을 통합하고 굳건히 만들려고 애쓰는 집단에게 항상 불편한 전략적 결과를 가져왔다. 어떤 이론이 맹목적으로 집단 내 차이를 최소화하려고 해도 차이가 사라질 리는 없다. ... 동맹을 형성하려는 열망은 억압의 심각성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과 협력해야만 달성 가능한 공동의 이상을 포용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 P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