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 나에게 말했다. “너는 잊고 싶은 것을 정말 잘 잊어먹는 놀라운 재주가 있다”고. 실재로 나는 나에게 실연을 안겨준 19명의 여자들 중에 불과 7,8명 밖에 이름을 기억하지 못한다. 그나마 이름과 학교, 얼굴을 제대로 연결할 수 있는 사람은 4명 정도이다. 내가 기억하고 있는 것은 19라는 숫자뿐이다. 이 숫자는 처절하지 않다. 적당히 낭만적이고 적당히 아름다운 추억의 파노라마만이 그 속에 뭉뚱그려져 있을 뿐이다.
나는 또한 대학시절 머리 싸매고 읽었던 자본론의 어느 공식 하나도, 정경비서설의 어느 문구하나도, 포이에르바하의 테제 중 단 하나도, 공선언의 그 놀라운 명문 중의 하나도 전혀 기억치 못한다. 더 솔직히 말해, 나는 맑스가 무엇을 증명했고 레닌이 그것을 어떻게 현실화시켰는지 이제 거의 기억나지 않는다. 내가 기억하는 것은 내가 그것들을 꽤나 열심히 고민했고 적어도 몇 년간은 그 세계에서 살았다는 추억의 덩어리 뿐이다.
나는 지나치게 현실과 환경의 지배를 받는 인간이다. 이건 현실주의자, 실용주의자라는 규정과는 차원이 틀린 이야기다. ‘주의’라는 것은 선택의 영역이지만 애초에 나는 현실의 다른 선택 대상인 과거나 미래에 대한 기억과 관념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카르페디엠”은 나에게 어쩔 수 없음이다.
어쨌든 나는 당장에 무의미한 것들은 거의 잊어먹는다. 그렇다고 기억할 것들을 기록하는 것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나는 해마다 다이어리를 새로 사면서 지난 다이어리 주소록에 기록된 사람들의 절반은 늘 옮겨 적지 않았다. 무의미한 것들의 수명을 기록으로 연장시키는 것은 현실을 낭비하는 것이라고 나는 믿고 있다.
나는 살면서 크게 2번 정도 기억을 포맷했다. 아니 하고자 해서 한 것이 아니니 포맷되어졌다고 표현하는 것이 적당하겠다. 내 생활의 환경이 바뀌면서 그냥 그렇게 된 것이다. 첫번째 시절의 것들 중에 아직 기억되고 있는 것은 3명의 가족과 1명의 친구 밖에 아무것도 없다.
모든 망각은 자연스럽고 또 그래서 편안하다. 세상에는 억지로 망각할 수 있는 것은 하나도 없다. 억지는 기억을 강화할 뿐이다. 나는 지금까지 늘 자연스럽게 변해오고 자연스럽게 적응해 왔다. 내 인생에는 단 한 번의 억지스러움도 없었다.
올드보이는 이런 내게 말한다. “기억해 내라. 네가 준 상처와 네 과거의 잘못을…” 도대체 왜? 기억해 내야 하는 것인가? 답은 뻔하다. 복수하기 위해서다. 유지태는 복수를 위해 스스로를 기억 속에 가두어 버렸고 최민식은 복수를 위해 기억을 파헤쳐 열 몇 권의 노트 기록을 남기고 5일간의 생지랄 끝에 결국 기억에 도달한다. (영화 똑바로 봐라. 알아내는 게 아니다. 미용실에 들어오는 여자 아이를 보고 기억해 내는 것이다.)
모든 복수는 기억으로부터 시작된다. 그래서 기억은 섬뜩하다. 이런 대사가 나온다. “고통은 상상력 때문에 생기는 것”이라는… 그러나 그 말은 틀렸다. 고통은 기억에서 온다. 생이빨이 뽑히는 고통은 상상 되어지는 것이 아니라 지난 날, 젖니를 뽑던 유년의 고통이 증폭되어 오는 것이다.
그래서 기억의 끝은 참혹하다. 기억에 매달려 기억 속에서 살았던 유지태는 기억으로부터 해방되자마자 자살한다. 끝내 기억에 다다른 최민식은 다시 망각으로 돌아가기 위해 최면을 택한다. 기억은 엉킨 실타래와 같아서 절대 원하는 것만 끄집어 낼 수 없다. 하물며 사진과 같은 기록이야 더 말해 무엇하겠는가… 기억과 기록의 끝에 있는 것! 그것은 죽거나 혹은 망각하기 위해 발악하거나 둘 중의 하나다. (그래서 사진 같은 건 절대 금물이다. 가족사진이라니… 죽고 싶어 환장한 짓이다.)
어쨌든 당연히도 최민식의 최면은 실패한다. 아까도 말했지만 망각은 절대 억지로 되지 않는다. 망각은 신이 인간에게 부여한 최고의 선물이다. 오로지 선택받은 유전자만이 망각의 재능을 가지고 태어나며 망각의 편안함을 누릴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나는 축복받은 존재다. 내가 유지태였다면 기억해 달라는 말을 남기고 합천댐에 빠져죽은 누이는 그냥 사춘기 시절의 아름답고 슬픈 레파토리일 뿐이다. 살아가며 여자 꼬실 때 분위기 조성용으로 몇 번 써먹다가 아마 곧 잊어먹었으리라… 내가 최민식이었다면 나는 주1회 VTR 상영과 김치찌개 배식을 위해 단식 투쟁을 했을 것이다. 그러다가 굶어 죽으면 죽는거고… 유지태가 5일 안에 답을 알아내면 자신이 죽어주겠다는 말을 했을 때, 나는 아마 "뭐가 뭔지는 잘 모르겠지만 내가 잘못했겠지 뭐..."라고 말하며 그 자리에서 곱게 자살해 줬을 것이다.
이것이 축복받은 자의 삶의 방식이며 이것이 기억에 매달린 자들에게 진정으로 승리하는 유일한 방법이다. 인간들이여! 망각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