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징비록 세트 - 전3권 ㅣ 샘깊은 오늘고전 15
유성룡 원작, 김기택 지음, 이부록 그림 / 알마 / 2013년 5월
평점 :
절판
학교 다닐 적에 어떠한 과목에도 흥미를 느끼지 못했지만 국사도 특히나 싫어했었다. 외울게 너무 많고 시대적으로 정리가 안 된다는 이유였다. 그 영향 때문에 잔인하다는 이유로 전쟁영화나 전쟁소설도 보지 않고, 고리타분할 것 같아 역사소설도 거의 읽지 않는다. 종종 역사소설을 읽고 나면 배경 지식이 없다 보니 그 모든 것을 사실로 믿어버리는 아둔함을 발견하곤 한다. 그건 현재도 마찬가지인데 이 책을 만나지 않았더라면 역사에 대한 나의 생각은 앞으로도 변함이 없었을 것이다. 임진왜란에 대해 제대로 알게 된 계기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띄엄띄엄 주워들은 사소한 지식들이 조금 정리가 되었고 스스로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난중일기』를 찾아서 읽고 있으며『칼의 노래』를 재독해야겠다는 다짐이 생겼다
.
임진왜란에 대한 나의 지식과 인식은 어느 정도였을까? 1592년에 일어난 전쟁, 이순신 장군이 거북선으로 적을 물리쳤단 사실 정도가 전부일 것이다. 이순신 장군의 유명한 유언과 난중일기에 나오는 시 한 구절을 덤으로 알고 있을 뿐 더 이상 알려고도, 알고 싶지도 않았다. 여수에 살다보니 늘 만나는 게 거북선과 연관된 지명들과 기념물이었다. 집 앞에는 거북이 모양의 호수가 있어 거북공원으로 불리고 조금만 걸어가면 거북선을 건조하고 수리했던 선소가 있다. 늘 마주치면서도 이순신 장군 때문에 유명하다며 늘 그 자리에 있는, 특별하지 않는 사실로 받아들였다. 그러나 이 책을 읽으면서 이순신 장군에 대한 관심이 더 커졌고 『난중일기』를 읽다 자주 등장하는 여수 곳곳의 지명이 뭔지 모를 뜨끈함으로 다가왔다. 여수에 살면서 한 번도 느껴보지 못한 감정이 이 책으로 인해 살아나고 있었다.
『징비록』은 '지난 일을 뉘우치고 앞으로의 교훈을 찾는 역사의 기록'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 책을 읽기 전까지 책 제목이 피부에 와 닿지 않는데 조금만 읽어 나가다 보면 이 책을 기록한 당시의 재상이었던 유성룡의 애절한 마음을 느낄 수가 있다. 이런 기록이 남아 있다는 사실이 놀랍고 책 제목의 뜻을 지키려 했던 글쓴이의 탄식과 안타까움이 애달팠다.
세 권의 소제목을 보면 1권 ‘유성룡이 보고 겪은 참혹한 임진왜란’ 2권 ‘달아난 임금 남겨진 백성’ 3권 ‘그 누구도 승자가 되지 못한 임진왜란’이다. 1권에서 이 책의 제목이 사무치도록 다가왔던 이유는 충분히 준비하고 막을 수 있는 전쟁이었음에도 그 누구도 대비를 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욕망으로 시작된 7년간의 전쟁에서 가장 참혹한 피해를 본 것은 조선이었다. 명나라가 구원병으로 와서 일본을 격퇴하고 조선 땅에서 몰아내려는 것으로 보이지만 히데요시의 욕망이 현실이 되지 않기 위해 자신의 나라를 방어하는 정도에 불과했다. 명나라와 일본 사이에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피폐해져가는 조선의 모습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참담하고 잔인했다.
100년 동안 어지럽게 전쟁을 했던 전국시대를 겪은 일본군은 강력했다. 부산에서 서울까지 아무런 제재도 없이 점령한 모습은 그야말로 한심스러운 당시의 조선을 그대로 보여주었다. 아무런 대비도 없었고 의로운 자들도 없었다. 군관들이 자기 자리에서 조금만 최선을 다해주었더라면 일본군의 진격을 어느 정도 막을 수 있었을거란 유성룡의 안타까움이 내 마음에서도 터져 나왔다. 그런 일본군이 조선을 만만치 않은 곳으로 보게 만든 것은 백성들이었다. 임금도 빈 약속을 한 채 서울을 떠났고, 나라의 녹을 먹는 자들은 싸우기는커녕 서로 도망치기 바빴다. 그런 혼란 속에서 백성들 스스로 의병을 일으켜 나라를 지켰다. 그리고 이순신 장군이 있었다. 바다에서 너무 잘 싸워주었기 때문에 일본군은 식량을 제때 조달받지 못하고 다른 부대와 쉽게 힘을 합치지 못해 지지부진한 상태 속에서 힘을 잃어갔다. 만약 이순신 장군이 바다를 지켜주지 않았더라면 조선은 더 피폐해졌을 것이며 히데요시의 욕심처럼 명나라까지 치고 들어갔을지도 모른다.
이 모든 것을 상세하게 기록할 수 있었던 유성룡은 전쟁의 모든 소식을 들을 수 있는 재상이었다는 점이 큰 역할을 했다. 그 혼란스럽고 복잡한 가운데도 이 모든 기록을 남겨 임진왜란을 낱낱이 드러내고 있었다. 따지고 보면 조선의 부끄러운 모습이라 스스로 기록하면서 참담하고 분하고 안타까운 마음이 금할 길이 없었을 텐데 평정을 유지하려 애썼고 그래서 더 애잔하게 임진왜란의 참담함이 진하게 다가왔다.
이 책이 지닌 역사적인 가치와 기록의 낱낱한 점까지 파악할 혜안이 내게는 없지만 이 책을 읽고 난 뒤의 마음은 참으로 씁쓸하고 오묘했다. 이 아픈 역사를 지켜보는 것만도 이렇게 참담한데 그 모든 일을 겪은 당시의 사람들의 마음은 과연 어땠을지 상상조차 못하겠다. 명나라의 군대에 모든 식량을 대느라 정작 조선의 백성들은 굶다 인육까지 먹는 사태에 빠졌음에도 그들을 구제할 방법이 없었다. 전쟁이 끝나고 농사지을 환경이 주어져야 하는데 7년의 전쟁은 모든 것을 앗아가고 피의 땅으로 조선을 뒤바꿔 버린 것이다. 그런 시대를 감당하고 겪고 이겨낸 이들이 현재 우리의 조상이라고 생각하면 마음 한켠이 뭉클해진다. 그럼에도 이 책의 제목과 의의처럼 지난날을 돌아보지 못하고 약 300년 후의 일제 식민지와 6.25 전쟁의 비극이 부끄러움으로 고개를 들 수 없게 만든다. 3권의 부제목처럼 어느 누구도 승자가 되지 못한 임진왜란. 그 전쟁의 파란만장함을 이렇게나마 제대로 알게 된 것이 다행인지 불편함인지 그 씁쓸한 여운으로 어지럽기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