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올리버 색스의 오악사카 저널 - 달콤하고 순수한 아마추어의 열정, 그리고 식물 탐사여행
올리버 색스 지음, 김승욱 옮김 / 알마 / 2013년 4월
평점 :
책은 여러 가지의 매력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내가 전혀 관심이 없거나 문외한인 부분에 대해서 이끌어 줄 수 있다는 게 큰 장점인 것 같다. 당연히 좋아하는 분야의 책을 엄청나게 쌓아놓고 있지만 종종 그 분야를 벗어난 읽기의 즐거움도 무시할 수가 없다.『올리버 색스의 오악사카 저널』을 읽게 된 건 순전히 호기심이었고 읽다 보니 멕시코의 오악사카 식물 탐사여행기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집안에 식물을 들이기만 해도 다 말려버리는 내가 식물 탐사여행기를 읽고 있다니. 그것도 거의 알지 못하는 양치류에 대해서라니. 내가 생각해도 피식 웃음이 났지만 저자의 솔직담백한 발랄함 때문에 아무런 부담 없이 읽어나갈 수 있었다.
양치류 식물 애호가들의 모임이 있다는 사실도 몰랐지만 열정적인 애호가들과 함께 오악사카를 여행한 이야기가 이 책에 담겨 있다. 약 10일 정도의 기록이며 미국에서 출발해서 돌아올 때까지의 소소하고 세세한 이야기다. 고대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오악사카의 양치류들은 애호가들을 흥분시키기 충분했고 스케치로 실려 있는 여러 종류의 양치류를 볼 때마다 내 눈에는 별 차이가 없어 보여 이렇게 관심분야가 다름을 느껴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들었다. 저자가 설명하고 있는 양치류를 알아간다기보다 저자의 열정에 이끌려 그 세계에 조금씩 발을 디뎌 놓았던 것이다.
물론 이 책을 읽었다고 해서 양치류에 대해 많이 알거나 관심이 생긴 것은 아니다. 양치류 세계의 입구만 들어갔다 드넓은 세계가 있다는 사실정도만 인지하고 다시 내 세계로 돌아왔다. 하지만 저자가 그곳에서 드러낸 양치류에 대한 순수한 열정, 똑같은 열정을 가진 여러 사람들, 다양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놀라울 따름이었다. 그렇다고 오로지 양치류에 대한 이야기만 채우는 것이 아니라 주변을 돌아볼 줄 알며 때로는 현재 내면의 상태를 점검하기도 한다.
멕시코 역사와 함께 어우러지는 양치류의 이야기는 생뚱맞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오히려 그런 역사 이야기와 함께 얽혀 있어 그 식물들이 더 대단해 보이기도 했다. 1803년에 약 4,000살쯤으로 추정되었던 툴레 나무의 사진은 경이 그 자체였다. 그렇게 오래 된 나무들, 그리고 외로이 생명력을 이어가며 번식하며 지금까지 살아온 식물들. 그 앞에서 인간은 얼마나 연약한 존재인지를 깨닫게 되는 시간이기도 했다.
그러면서도 식물에 갖는 순수한 열정에 조금씩 이끌려갔다. 비록 저자가 펼쳐놓은 세계는 말 그대로 낯선 곳이라 맘껏 누리지는 못했지만 오래도록 끊임없이 무언가를 좋아하게 되는 마음에 감탄하게 된 것이다. 요즘의 나의 모습을 보면 무언가를 좋아하는듯 하다가도 뒤돌아서면 열정이 사그라져 버린다. 그래서 무엇을 좋아하는지, 무엇을 하고 싶은지 나 자신도 모를 때가 허다하다. 그나마 오래도록 좋아해온 것이 책이라지만 내가 정말 순수하게 좋아했는지를 묻는다면 단박에 대답할 수가 없다. 타인에게 보이기 위한 독서, 기록, 알은체가 은연중에 혹은 의도적으로 드러났던 순간들이 얼마나 많았던가. 그런 모습을 보면 식물에 대한 열정적인 사람들의 모습에 부끄러워진다. 그들이 가진 지식보다 그들이 가진 열정, 희열, 간구를 나는 어느 것에도 쏟아 부을 수 없다는 사실이 씁쓸해진다.
그렇다고 이 책을 읽고 이렇게 자괴감에 우울했던 건 아니다. 자기 반성적인 모습이 있긴 했지만 내가 전혀 관심을 두지 않았던 양치류 식물 탐방기를 이렇게 만날 수 있고 알아갈 수 있다는 사실이 좋았다. 저자의 책이 책장에 한가득 있는데 한권씩 꺼내서 읽어보고 싶다. 또 얼마나 방대한 지식을 펼쳐놓을지 기대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