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래의 건축 100 ㅣ 테드북스 TED Books 2
마크 쿠시너 지음, 김명남 옮김 / 문학동네 / 2015년 10월
평점 :
절판
연휴임에도 출근한 남편, 어린이집에 가지 않은 큰 아이 때문에 하루 종일 집에만 있다 보니 너무 답답했다. 머리도 아픈 것 같고 아이들에게 짜증만 내는 것 같아서 잠시 시골에 있는 친정집으로 피신을 했다. 어릴 적 추억이 잔뜩 묻어있는 장소와 녹음이 어우러진 곳을 걷다 보니 마음도 편해지고 짜증도 내지 않는 나를 보면서 자연의 치유를 경험했다. 친정 엄마도 자주 보고 이런 자연도 아이들에게 보여줘야겠단 생각을 하면서도 선뜻 그래지지 않는 이유를 생각해보니 시골집의 불편함 때문이 아닌가 싶었다. 오래전에 지은 집이라 구조의 불편함, 동선의 비효율성, 난방 문제 등등 시골집이 좀 더 효율적이라면 좋겠단 생각을 하게 된 것이다.
엄마를 보러 오는 이유에 시골집의 구조를 핑계 삼는다는 것이 부끄럽기 짝이 없지만 이 책을 읽다 보니 우리 엄마가 사는 시골집도 좀 더 안락하고 편안했으면 하는 생각이 더 들었다고 말하고 싶다. 저자는 장소가 삶을 형성한다고 말하고 있는데 같은 풍경이라도 어떠한 구조에서 보는가에 따라 완전히 달리 보일 수 있음을 한번쯤 경험해 봤다면 내가 속한 공간에 대한 구조의 아쉬움을 늘 가질 수밖에 없다. 여러 가지 이유와 제약으로 그런 공간을 만들 수 없고, 과감히 이행할 수 없는 아쉬움이 늘 존재해 노년에는 한적한 곳에 집을 짓고 살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지도 모르겠다. 마음속에 내가 원하는 공간을 품고 사는 것. 그것이 현실이 되기까지는 너무 많은 시간과 용기가 필요하므로 이 책 속에 나온 건축물을 보면서 공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가져보기로 했다.
저자가 주관적으로 고른 100개의 프로젝트 건축은 소도시에 살고 있는 나에겐 피부에 와 닿지 않은 환상적인 공간으로 여겨졌다. 대도시에 살아서 그런 건축을 봤다 하더라도 나와는 거리가 먼 부유하고 여유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라고 치부했을 것이다. 내가 그런 건축물 안에 살 수 없고 볼 수 없다고 한탄만 한다고 해서 달라질 건 아무것도 없으므로 저자가 소개하는 건축물은 어떤 모습인지 구경이라도 실컷 하자 싶었다. 정말 이런 곳이 있을까 싶을 정도로 극한의 환경에 자리한 아름다운 건축물을 포함해서 새롭게 재정비되고 변형시키고 자연에 스며들고 사람을 치유하고 미래를 추측해보는 여러 건축물을 보았다. 그야말로 눈이 휘둥그레졌고 그런 곳을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내가 속한 공간에 대한 답답함을 잠시나마 잊을 수 있어서 좋았다.
건축 자체에 대한 호기심이 사라지면 도대체 이런 공간을 어떻게 구상하고 지어낼 생각을 했는지 건축가들에 대한 궁금증이 일었다. 어떤 방법으로 시야를 키우고 독창성을 길러내는지, 늘 새롭게 지어지는 똑같은 아파트와 신축 빌딩만 봐오다 건축가 혹은 디자이너에 대해 이런저런 생각을 하게 된 것이다. 정말 열정적으로 일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떠올랐고 그들이 그렇게 연구하고 행동한 덕분에 세계 곳곳에 포진해 있는 의미 있는 건축물들이 아름답게 보일 정도였다. 나는 무엇을 그렇게 열심히 해보았을까 하는 자괴감에 빠지기 직전에 다시 시선을 건축으로 시선을 돌렸고, 이상하게 건축에 대해 하나도 모르면서 구경하기 좋아하고 관심을 가졌던 오래전의 나를 다시 만나게 되었다.
100여 개의 건축물을 순식간에 눈으로 훑어갔고 짤막한 글 속에 담긴 설명과 메시지를 습득했지만 그 과정 속에서 나는 더 많은 것을 떠올리고 얻었으며 빠져들었다. 자연의 치유를 경험했고 고향집에 대한 아쉬움과 이상을 꿈꾸었고 의미를 지닌 건축물을 보면서 사각형에 갇혀 사는 나를 좀 더 자유롭게 풀어주는 계기도 만들었다. 공간을 바꿀 수 없다면 마음이라도 바꿔보자는 긍정이 솟아났고 내가 속한 공간의 변화가 너무 먼 미래가 되지 않길 바랐다. 그런 바람이 너무 멀게 느껴진다면 이렇게 다른 사람들이 만들어 낸 건축을 보면서 마음을 달래보지 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