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 없는 남자들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양윤옥 옮김 / 문학동네 / 201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간 당시에 하루키의 단편집이 궁금해 바로 구입했음에도 굉장히 오랜 시간을 두고 읽은 셈이 되고 말았다. 하루에 한편씩 하루키의 단편을 읽다 입덧이 심해져 다시 펼칠 엄두를 내지 못했고 당일치기로 서울을 다녀가면서 기차 안에서 모두 읽었다. 처음 한편씩 천천히 읽었을 때는 역시 하루키다운 흡인력에 놀라면서 술술 읽히는 것이 신기했다. 그러다 기차 안에서 나머지 분량을 모두 읽고 나자 가장 먼저 드는 생각은 ‘이거 태교에 안 좋군!’이었다. 나와 마찬가지로 하루키를 열광적으로 좋아한다고 할 수 없지만 무시하지 못하고 꾸준히 읽고 있는 지인에게 그 말을 전했더니 태교 책으로 적당하지 않다며, 그럼에도 그의 책을 읽게 되는 하루키란 작가가 우리에게 어떤 의미인지 잠깐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깊이 사색하고 당당하게 이 작가를 좋아한다고 말할 수 있는 위치는 아니지만 그의 작품이 나올 때마다 무시할 수 없는, 궁금해서 그의 새로운 이야기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는 결론을 냈다.

  워낙 다작한 작가라서 그의 작품을 스무 권이 넘도록 읽었음에도 여전히 읽지 못한 작품이 수두룩하다. 하루키의 작품을 읽을 때마다 드는 생각은 음악, 음식에 능통하고 시류에 흔들리지 않는 독자적인 생활을 하면서 특히 경제적으로 무관심한(주인공의 삶에 온전히 동조할 순 업지만 무심한 경제적인 바탕은 늘 부럽다.^^) 인물이 등장하는 것은 비슷하다는 것이었다. 이 단편집에도 그런 인물들이 즐비했는데 책 제목처럼 ‘여자 없는 남자들’의 모습은 평범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하루키 자신의 경험이 녹아있는 인물들의 배경에 늘 뭔가 하나 부족한 듯한 그들의 모습을 보고 있으면 평범하게 산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를 다시 한 번 깨닫게 되었다. 그리고 평범함의 기준이 과연 무엇이며 누가 정했는지조차 혼란스러울 정도로 다양한 삶의 모습을 지켜봤다고도 할 수 있겠다.

  이 작품 속에 등장한 인물들의 이야기는 흥미로웠지만 사랑에서만큼은 늘 부족한 모습이라 요즘 말로 ‘찌질한’ 남자들이란 생각이 들기도 했다. 내가 그런 사랑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대놓고 그들에게 뭐라 하는 것이 아니라 그런 남자들만 등장해서 전체적인 총평이 그렇다는 이야기다. 지난 과거의 사랑을 되돌아보면 찌질함과 집착, 못난 모습들을 나 또한 얼마나 많이 보여 왔는지 얼굴이 화끈해질 정도다. 그게 과거형이로만 기억될 수 있다면 좋겠지만 배우자에게도 그런 모습을 어김없이 보이는 내 모습이 생각나 MSG를 잔뜩 섭취한 뒷맛처럼 씁쓸함이 한동안 나를 지배했던 것 같다.

  그럼에도 타인의 삶을 들여다본다는 것은 씁쓸한 감정만을 남겨 놓는 것은 아니다. 저자가 흥미롭게 쓴 영향도 있겠지만「사랑하는 잠자」를 제외한 나머지 여섯 편은 지루함 없이 읽었다.「사랑하는 잠자」는 마치 카프카의 단편집을 읽는 듯 몽롱했고 나머지 작품들은 구술 문학을 접한듯 타인의 이야기를 전해 듣는 묘미가 있었다. 그렇게 전해지는 이야기의 끝이 모두 해피엔딩이라고 말할 수 없지만(개인적으로 해피엔딩을 좋아하지만 하루키 소설에서 그런 천편일률적인 결말은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이런 삶을 사는 사람들도 있다는 다양성을 인지한 듯 했다.

우리가 누군가를 완전히 이해한다는 게 과연 가능할까요? 설령 그 사람을 깊이 사랑한다 해도. (49쪽)

  누군가를 완전히 이해하는 일. 완전히는 아니어도 타인의 마음을 이해하며 살아가는 사람도 있겠지만 나에게는 불가능하다. 타인의 마음을 이해하기 전에 내 마음부터 이해하고 들여다보아야 하는데 조금만 게으름을 피우면 혼란과 맞닥트리고 만다. 내 자신을 사랑해야 타인을 사랑할 수 있다는 말이 참 진부하게 들리지만 스스로를 이해하지 못하고 타인을 이해하는 일은 그래서 불가능하다. 그렇다고 내 마음을 온전히 이해할 때까지 내면에 갇혀 있으라는 얘기가 아니라 내 마음을 들여다보듯 타인의 마음을 들여다보면 불필요한 갈등은 사라질 것이다. 그런 과정을 덧입혀가는 게 성숙한 삶을 향해가는 발걸음이 아닐까? 이 작품을 통해 다양한 삶의 모습을 지켜보면서 그나마 내가 낼 수 있는 결론이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양물감 2015-01-27 13: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90년대 중반에 하루키 책을 제법 읽었어요.
그때 읽었던 `노르웨이의 숲`이 제일 좋았던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