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 어디 가?>를 리뷰해주세요.
-
-
아빠 어디 가?
장 루이 푸르니에 지음, 강미란 옮김 / 열림원 / 2009년 2월
평점 :
책 소개를 간단히 보고, 마음이 저릿저릿 아파왔다. 두 명의 장애인 아들을 둔 아빠. 그가 쓴 글이 어쩐지 알지도 못하면서, 막연한 동정심이 일었다. 단순하게 장애인 아빠를 향한 측은함이었기에 책을 읽는 과정에서 참 많이 부끄러웠다. 멀리 갈것도 없이 내 주변의 장애인을 대하는 태도는 그릇된 것이 많았기에 얼마나 편협했는지 알게 되었다. 그렇다고 이 책을 통해 장애인에 대한 생각을 다르게 가진 것은 아니다. 장애인 아들을 둔 아빠의 심경을 뼈저리게 느낀 것도 아니다. 다만 두 아들과 자신의 처지를 이렇게 쓸 수 있다는 것에 놀랄 따름이었다. 이렇게 쓰면 안된다는 보장도 없지만, 그동안 그들을 바라보는 시선에는 그렇게 쓰는 것은 과하지 않냐는 편견이 들어 있었다. 그런 편견이 책을 읽는 동안 얼마나 처절하게 깨져 버렸는지, 얼마나 바보 같은 생각이었는지 깨닫는데는 많은 시간이 필요치 않았다.
책 속의 주인공만 살펴보더라도 그들 앞에서 어떤 자세를 취해야 할지 난감해진다. 장애 아이들을 가졌다고 막연한 측은함을 보낼 수도 없는 노릇이고, 더군다나 당신을 이해한다고 말할 수 있는 성격이 아니었다. 직접 겪어보지 않고서는 차마 입에 올릴 수 없는 말이 '이해한다'는 말이 아닐까. 동정심도, 이해도 아니면 도대체 어떤 마음으로 이들을 대해야 할지 난감해 질 것이다. 아빠가 아이들을 대하는 태도와 시각을 그대로 좇는다고 하면 좀 도움이 될까. 아빠는 아이들에 대해서나 자신에 대해서 솔직하다 못해 익살을 부리고 있었다. 그 익살이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며 배꼽을 잡으며 웃을 수 있다면 좋으련만, 익살의 뒤끝은 씁쓸하기도 했고 눈물이 날 것 같기도 했다. 자신의 아이들이 보통 아이들과 같지 않음을 알기에 부렸던 익살이기 때문일까. 실컷 웃다가도 결국 울고 마는 아픔이 느껴졌다.
장애 아이들을 둘 씩이나 둔 아빠의 심정을 이해 하면서 이 책을 읽는 것은 아니었다. 책을 통해 토로 함으로써 조금이나마 마음이 편해질 수 있다면, 힘겨웠던 짐을 독자들에게 조금씩 나눠줄 수 있다면 기꺼이 짊어지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40년 동안 꺼내지 못했던 이야기라고 했듯이, 소설이라고 하지만 책을 통해 알리는 것이 쉽지 않았을 것이다. 단순한 고백이 아닌, 익살맞고 적절한 무게를 지녀야 했으니 또 한 번의 어려움을 겪었을지도 모른다. 두 아들을 똥강아지라고 부르며, 평범한 일 하나조차 할 수 없고 바랄 수 없는 심정을 이렇게 고백할 수 있기까지 어떤 고통이 있었는지 알 수 없다. 저자가 간직한 것이 고통이었는지 사랑이었는지 정확하게 말할 수 없지만(아마 그 두 감정이 버무려 졌으리라), 그런 감정을 무시한 채 웃을 수 없었다. 모두들 아이들 이야기를 꺼내면 심각해지기 때문에 웃으면서 얘기해 보고 싶었다던 저자. 실재로 아이들이 많이 웃게 해주었기에 가능했다는 말조차 왜 그렇게 가슴 아프게 다가오는지 모르겠다.
두 살 터울인 마튜와 토마를 보면서 저자는 많은 생각을 한다. 그런 아이들을 낳은 자신을 자책 하기도 하고, 아이들로 인해 받게 되는 어려움을 숨김 없이 털어 놓는다. 아이들이 어떤 모습인지 감추지 않았고, 아이들과 함께 갖을 수 없는 꿈과 평범한 일상을 드러내기도 한다. 아이들을 이렇게 표현해도 되나 싶을 정도로 솔직한 면에서 당황하기도 했지만, 그 안에 내제된 애정을 느낄 수 있었다. 막연한 사랑으로 둘러치지 않고, 눈물과 동정심을 호소하지 않는 저자의 글 앞에서 있는 그대로의 그들을 받아들일 수 밖에 없었다. 정상적이지 못한 두 아이들과 살아온 시간을 되돌아보며, 태어났을 때부터 드리워진 상당한 무게의 짐은 충분히 덜어내지 못했다. 덜어낼 수도 없고, 덜어낼 성질의 것이 아니었다. 마튜가 척추 수술을 받고 3일 만에 숨지자, 오히려 잘됐다고 말하는 사람들 앞에서도 태연해야 했던 저자. 그런 저자가 책을 통해 아이들 이야기를 한다고 해서 많은 짐이 덜어졌을 거라 생각하지 않는다. 가장 가슴 아픈 것은 두 아이들은 이 책을 읽을 수 없다. 마튜는 다른 세상으로 가버렸기에 더욱더 가능성이 희박하다.
이들의 이야기를 너무 빨리 읽어 버린 사실이 조금 미안하기도 했다. 쉽지 않은 세월을 지내왔고, 적절한 선을 유지하려 애쓰는 저자의 글을 다른 나라 얘기 인듯 읽어 버렸다. 그러나 마음이 찡해지는 것은 어쩔 수 없었다. 차라리 블랙유머를 읽는 거라면 좋았을 것을. 지극히 현실적이었고, 경험이 진득하게 녹아든 이야기들은 보통사람들이 무시하며 아무런 상관 없이 지나쳐가는 또 다른 사람들의 삶이었다. 그런 보통 사람인 나를 덜 부끄럽게 만들어 준 저자 때문에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 솔직하게 대면해준 저자의 노고가 많은 이들에게 중요한 메세지를 남겼을 거라 생각한다. 장애인을 보면 측은하다고 생각하지 않는 것, 보통 사람과 좀 다를 뿐이라고 긍정적으로 생각할 것. 그리고 무엇보다 그런 아이를 갖게 되더라도 아이들을 있는 그대로 바라볼 것. 모든 것이 감사하게 느껴졌다. 유쾌할 수 있는 저자도 감사했고, 아빠를 웃겨줄 수 있는 마튜와 토마도 고마웠다. 장애 아이들을 두었다고 해서 특별한 사람이 아니라 그도 똑같은 인간이기에 많은 고뇌를 하며 살아간다는 것을 알았다. 좀더 힘을 내어주었으면 좋겠다. 아이들보다 자신을 위해. 지금껏 잘해 왔다는 용기와 함께.
- 서평 도서의 좋은(추천할 만한) 점
- 장애아이를 가진 부모의 솔직한 내면을 어김없이 보여주었다.
- 서평 도서와 맥락을 같이 하는 '한핏줄 도서' (옵션)
- 서평 도서를 권하고 싶은 대상
- 장애인에 대한 무작정의 편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나 어느 누구라도 읽어봐야 할 책이다.
- 마음에 남는 '책속에서' 한 구절
- 장애아의 아빠는 웃을 자격도 없다. 장애아를 둘이나 가진 아빠는 곱빼기로 슬픈 모습을 보여야 한다. (4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