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를 데리고 다니는 부인 Mr. Know 세계문학 45
안톤 파블로비치 체홉 지음, 오종우 옮김 / 열린책들 / 2007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체호프의 희곡집을 읽고 괜찮아서 소설집을 샀다..
많은 단편들이 있었는데 거대한 여행을 하고 온 듯하다..
고골의 소설이 떠오르기도 했고.. 고흐의 그림이 그려지는 듯한 느낌이 들었고 한편의 영화나 토마스 만의 '베니스에서의 죽음'이 연상되는 듯한 느낌을 받는 단편들도 있었다..
한권의 책이였지만 다양한 경험을 했다.. 그 경험을 통해 체호프의 역량을 확인하게 되었다..
표현들도 섬세하며 아름다웠고 때론 괴기스럽고.. 엉뚱하고.. 혼란스러웠찌만 어느 한 부분이라도 군더더기로 느껴진 곳이 없었다..
러시아 특징을 잘 살리면서.. 그 안에 많은 것들을 내포시키는...
그러나 그것이 거창하다거나 공통된 것이 아닌 읽는 사람들로 하야금 느끼는 대로 만들어 가도록 다양함을 지닌 매력이 있는 단편들이였다.. 러시아 소설이지만.. 그 안에 러시아만 국한되어 있는 것이 아닌.. 인간 그 자테의 삶과 내면을 보는 듯 했다.. 읽고 있으면 마치 모든 사람의 심리는 러시아인으로부터 나오는 것처럼... 내가 러시아인인 것처럼 그렇게 다가온다...
있는 그대로의 삶과 평범한 내면을 보여주기 때문에 거참함을 기대 했다면 실망스러워 했을지도 모르지만 18세기에 씌여진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지금 읽어도 낯설음이 없고.. 거기다가 단편임에도 불구하고 완성도를 보면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체호프의 단편에서는 짧은 재미.. 황당한 결말.. 혼란스러움.. 괴기함.. 평이한 삶의 흐름등 다양함을 느낄 수 있는데 오늘날의 단편들에 비하면 전혀 뒤지거나 빠지는 법이 없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해설에서 '네이딘 고디머'의 언급에서
<체호프가 없었다면 단편 소설을 쓰는 우리들 가운데 누가 존재할 수 있었겠는가? 체호프가 없었다면 단편 소설은 고리타분한 형식이 되었을 것이다.) 라는 말이 나오는데.. 그 말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진정 단편소설의 큰 스승이라해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위대함이 느껴지기 때문이다..
나만 해도 단편을 좋아하지 않았다..
그러나 조정래의 단편집을 읽고 나서 단편에 대한 편견을 깨고 단편집을 읽게 되었다.. 조정래와 체호프의 단편에는 분명 차이가 있지만 '네이딘 고디머'의 말처럼 단편이 고리타분하게 느껴진다면 아직 체호프를 만나지 못한 거라고 감히 말하고 싶다...

이 단편집의 표제인 <개를 데리고 다니는 부인>은 표제라는 이유만으로 거대함.. 독특함이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신성하게(? 아주 조용한 곳에서 마음을 가다듬고...) 읽었는데... 불륜에 관한 얘기다...
암울하고 불투명한 미래에 대한 근심으로 끝을 맺는데... 허무함과 서운함(?)이 교차하면서도 체호프 답다는 생각을 했다.. 단순한 불륜이라고 읽었다면 해설을 통해 이해를 덧붙이면 되는데.. 인간의 진실을 찾아서 간다는게 마음에 들었다.. 그게 불륜의 매력(?) 이고 그래서 사람들이 많이 저지르는지는 몰라도.. 그 행위를 통해 어찌되었건 삶의 진실과.. 마음의 진실을 찾는것이 불륜이라는 편견에 휘말리지 않아서 다행이라는 생각도 드었다.. 진실을 보자...
내마음의 진실.. 삶의 진실.. 행위의 진실...
그 진실들이 체호프의 단편을 통해 조금이라도 볼 수 있길 바란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07-04-28 00: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선물 받고 아직 안 읽었네요. 진실을 보자~

안녕반짝 2007-04-28 00: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체호프 책 괜찮아요 한번 읽어 보세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