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를 기다리며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3
사무엘 베케트 지음, 오증자 옮김 / 민음사 / 200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냥 한번 훑어 볼까?' 하고 꺼낸 책인데 너무나 순식간에 읽어 버렸다. 해설까지 다 읽고 난 후지만 어안이 벙벙하며 갈피를 잡기가 힘들다.

뚜렷함 없이 두리뭉실하게 흘러가 버리는 것.

부산스럽고 의미 부여를 할 수 없는 상황.

이 책은 이런 느낌이였다. 두 주인공 블라디미르, 에스트라공의 대화에서 그런 느낌이 배어났고 '고도'라는 사람인 것 같지만(소년이 고도의 심부름을 받고 왔다고 했으므로..) 정체를 알 수 없는 것을 기다리는 그들에게서 어떠한 것도 찾을 수가 없었다.

얼마전에 읽은 '체인지링'의 '그것'처럼 익숙하면서도 낯설며 정확히 무어라 말할 수 없는 난해함이 꼭 닮아 있었다.

 

그들은 '고도'를 기다리면서도 자주 망각한다.

그곳을 떠나려다가도 '고도를 기다려야 한다'며 늘 기다림을 번복한다. 그러나 끝내 고도는 정체를 드러내지 않고 그들도 크게 개의치 않으며 어제와 별다를 바 없는 하루를 나무가 한그루 심어져 있는 언덕에서 보낸다.

그러나 언덕에서 보내는 시간은 그리 의미있어 보이진 않는다.

이틀간의 내용이지만 그들의 만난 50년전의 시점에서 고도를 기다렸는지 어쨌는지 모를일이고 그들은 고도를 기다리지만 간절함은 없다. 그냥 서로에게 각인시키며 고도를 억지로 대입시키고 있는 기분이였다.

 

저자는 2차대전이 끝나길 바라는 시점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작품화 했다고 한다. 기다림이라는 근본적인 내재적 삶을 끌어들여서 말이다. 실제로 두 주인공은 하릴없어 보이긴 해도 기다림이라는 것에는 충실히 이행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제나 저제나 고도를 기다릴 태세고 고도가 오지 않더라도 내일 또 기다리며 된다는 태도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고도는 정답이 없는 셈이다.

저자의 입장에서는 전쟁의 끝이였을 수도 있고 우리 같은 독자들에게는 무궁무진하기 때문이다.

저자도 '내가 그것을 알았더라면 작품 속에 썼을 것'이라고 말한 일화가 있다고 하지만 그랬기에 저자의 고도는 평화라고 단정지을 수도 없는 것이다.

각자의 느낌대로 고도를 생각하면 되는게 아닐까?

 

이 작품이 연극으로 무대화 되었을때 많은 사람들이 몰려 주인공들의 엉뚱함에 즐거워 했다고 한다. 그러나 그러한 가운데 '고도'라는 것을 각자가 상상할 수 있었기에 더 즐거워했던 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유형적이면서도 무형적인 것.

멀게만 느껴지는 가운데 늘 마음속에 존재하여 쉽게 맞이할 수 있는 것. 그런것이 우리에게 공통된 '고도'일지도 모르겠다.

그러한 고도는 주인공들처럼 무작정 기다리는 것은 그다지 추천할만한 기다림이라고는 볼 수 없으나 그들의 마음 가운데는 고도가 올거라는 희망이 잠재되어 있기에 그렇게 느긋한지도 모른다.

고도가 목적이 되지만 그것이 그들에게 어떠한 변화와 결과를 가져다줄지 전혀 모르는 상황처럼 고도는 그렇게 기다림을 던져주고 있었다.

 

어제 만났던 소년,럭키,포조가 그들을 기억하지 못하듯 잊혀지는 존재라고 해도 고도는 꼭 기다려야만 했다.

그들의 목적은 무조건 고도이기 때문이다. 자신의 존재 여부와 가치보다 고도의 실재감이 더 중요했고 기다림을 통한 그들의 삶은 중요치 않았다.

고도가 나타난다해도 크게 개의치 않을 것 같은 그들.

왜 고도를 기다리는지 왜 고도를 만나야 하는지를 깨닫지 못하는 것처럼 왜 살아야 하며 왜 인생을 개척해가야 하는지 모른채 전진 혹은 시간 죽이기를 즐기는 현대인의 모습과도 닮아 있었다.

가끔은 무작정 고도를 기다려 보는 것도 마음 편할테지만 목적의식을 가지고 기다리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

지금껏 우리는 무작정 기다려왔으므로.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뒷북소녀 2009-02-24 10: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땡스 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