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리스 먼로의 <착한 여자의 사랑>이 출간되기 전 운 좋게 받아 본 티저북이다. 단편집이라 티저북에는 <착한 여자의 사랑>이 아닌 <자식들은 안 보내>라는 단편이 실려있다. 제목만 듣고는 가늠이 되질 않아 한참을 망설이다 읽었는데 처음에는 인물도 헷갈리고 집중이 잘 되질 않았다. 그런 염려가 되었는지 출판사에서도 초반 부분을 잘 넘기면 새로운 내용이 펼쳐질 거라 안내하고 있었다.



 



호기롭게 카페에 들고 갔다 읽기에 실패했다. 책은 얇지만 카페에서 가볍게 읽을 만한 내용이 아니라는 사실을 간파했다. 책은 덮어두고 케이크와 커피만 맛있게 먹고 왔지만 이 책을 도대체 언제, 어떻게 읽어야할지 조금 고민이 되기는 했다. 그렇게 오래도록 버티다 가장 바쁜 시간(남편이 퇴근하지 직전, 나는 저녁을 준비해야 하고 아이들의 귀찮음을 버텨야 하는 시간)에 책을 펼쳐들었다. 왜 그랬는지는 모르겠지만 그렇게 읽기 시작한 책은 바쁜 시간을 홀라당 잡아먹고, 저녁 준비 시간도 완전히 늦추게 만들었다. 그렇게 다 읽고 났을 땐 나도 모르게 "아, 이거 뭐지?" 라며 중얼거렸다.



 



이게 그녀가 가진 전부였다. 지금 브라이언이 누워 잠들어 있거나 깨어 있을 그 펜션과의 연결고리는 끊어졌다. 또한 그녀와 브라이언이 함께하는 삶의 표현이자 그들이 살고 싶었던 생활방식의 표현이었던 그 집과의 연결고리도 끊어졌다.


그녀, 폴린은 어느 바비큐 파티에 갔다가 연극에 출연해 보지 않겠냐는 제프리의 제안을 받는다. 어린 아이가 둘이나 있는 입장에서 참여한다는 것도 쉽지 않을 텐데 대본을 외우고 연습에 참여한다. 그리고 폴린의 가족과 시부모님이 함께 휴가를 즐기던 중, 갑자기 찾아온 제프리의 전화를 받고 모텔로 돌아가 다시는 가족으로 돌아가지 않는다. 그리고 남편은 그 사실을 '대번에 믿는 것 같았다'고 말한다. 폴린과 제프리는 남편의 반응에 의아해 하면서도,


"그의 잠재의식에서는 이미 알고 있었는지도 모르죠. 다들 그렇게 알잖아요."


라는 폴린의 말에 '그렇게' 체념한다.



 



그녀는 그럴 수 없는 온갖 이유를 댈 준비가 되어 있었고 그 말을 하려고도 해봤지만, 바로 그 순간 그녀의 삶은 표류하기 시작했다. 집으로 돌아간다는 건 마댓자루를 뒤집어쓰고 끈으로 묶는 것과 같을 것이다.


그렇게 그녀의 삶은 고꾸라지고 있었다. 그녀도 눈이 맞아 달아나는 사람들 중 하나가 되려 하고 있었다. 충격적이고도 이해할 수 없게도 자신이 가진 전부를 포기해버리는 여자가 되려는 것이다.


그녀는 어린 아이와 남편을 떠나 제프리와 함께 살게 된 것이 '안나 카레니나가 했던 것이었고, 마담 보바리가 하고 싶어했던 것이었다.'는 사실을 인지하면서도 돌아가지 않는다. 돌아갈 수 있는 기회는 얼마든지 있었고, 브라이언에게 사정을 이야기하면 자신을 받아줄 거라 확신도 했다. 그러나 그녀는 그러지 않았다. 그녀의 삶이 고꾸라지고 있었음에도 집으로 돌아간다는 것 자체가 '마댓자루를 뒤집어쓰고 끈으로 묶는 것'처럼 자신의 생명이 끝나는 거라 여겼다.



지금 뭔가가 달려오고 있다. 트럭이다. 달려오는 것이 트럭만은 아니다-엄청나고 암울한 사실이 그녀를 향해 달려온다. 그 사실이 난데없이 와버린 건 아니다. 줄곧 대기하고 있었다. 그녀가 눈을 뜬 뒤로, 심지어 밤중에도 줄곧 잔인하게 그녀를 찔러댔다.



'줄곧 대기하고 있'던 무엇. 그런 것을 담고 있지 않는 사람이 있을까? 그것이 드러나는 방식이 다를 뿐, 내가 폴린의 행동에 놀랐던 부분은 그 모든 고통을 감수하면서도 제프리에게 가서 다시 가족에게 돌아오지 않았다는 사실이었다. 그걸 무어라 표현할 수 있을까? 그녀는 집으로 돌아가지 않는 행동에 스스로 의아해하면서도 '그녀의 머리에 마댓자루가 씌워졌다.'며 돌이킬 수 없음을 인정한다.



 



이건 극심한 고통이다. 만성적인 고통이 될 것이다. 만성적이라는 말은 영원하긴 하지만 한결같다는 뜻은 아니다. 또한 그 때문에 죽지는 않는다는 뜻이다. 벗어날 수는 없어도, 그 때문에 죽지는 않는다. 매 순간 느끼지는 않겠지만, 고통 없는 상태가 여러 날 지속되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얼마나 끔찍한 고통인가. 그 일이 그저 가슴 아픈 과거로만 남고 더는 현재의 것이 될 수 없을 때까지 그걸 끌어안고 살면서 익숙해져야 한다는 것이.



나는 그녀의 행동을 단절로 보았다. '줄곧 대기하고 있'던 무엇을 행동으로 옮기고 이전의 삶과의 단절. 그에 따른 고통은 고스란히 받아들이고 감내하면서도 그럴 수밖에 없는 이유를 찾으려는 독단적인 '단절'로 보았다. 그렇지 않고서는 그녀의 행동을 어떻게 봐라봐야 할지 난감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스스로 '마댓자루'를 써버리는 그녀의 단절이 가슴을 욱신거리게 했다. 그녀의 고통이 느껴졌고, 그 고통을 그렇게밖에 표현할 수 없는 자각이 안타까웠다. 그럼에도 스스로 모든 걸 등지는 모습이 슬펐다. 그러지 말았으면, 다시 돌아갔으면, 아이들 생각이라도 했으면 하는 섣부른 생각을 실을 수도 없었다. 그건 오로지 그녀만의 고독이자 단절이었다. 그래서 아무런 충고도, 아무런 걱정도, 아무런 안타까움도 내비칠 수 없어 가슴이 내내 욱신거렸다.



소설은 30년 전, 한 가족의 휴가지에서 시작해서 '그녀의 자식들은 성장했다'로 마무리된다. 그녀의 큰 딸 케이틀린과의 대화로 소설은 끝나는데, 폴린은 제프리와 '한동안' 살았음을 알게 되었고, 이후로 다시 가족 곁으로 돌아가지 않았음을 암시한다.



한 치의 망설임과 오차도 없이, 어떠한 환상이나 사랑의 달콤함 없이 극단적으로도 보이는 소설 <자식들은 안 보내>는 그렇게 가슴을 후벼 파고 내게서 도망쳤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뒷북소녀 2018-12-07 12: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저거 좋아해요. 부드러운 생크림이 있어서요.^^

안녕반짝 2018-12-10 10:53   좋아요 0 | URL
그죠? 한 번 맛보고 나니 생크림 케이크만 먹게 되더라고요^^
딸아이 데려가면 혼자 저걸 다 먹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