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언젠가 죽는다>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우리는 언젠가 죽는다
데이비드 실즈 지음, 김명남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삶이란, 

결국 우리는 언젠가 죽는다는 것. 이러든, 저러든. 

지은이는 유년기와 아동기, 청년기를 거쳐 중년기를 살고 있는 중. 지은이로 하여금 이 책을 쓰고야 말게 만든 아버지는, 향년 97세, 노년기를 살고 있는 동시에 죽음을 앞두었다고 할 수 있겠다.  

경험과 과학에 의하면 아버지는 실은 죽음을 눈앞에 두고 스러져가고 있는 중..이라고 해야지만 아직 아버지는 '그토록 수명에 집착하고, 생존 그 자체에 목을 맨다. 여전히 못 말리게 활기차고 그 생명력은 가히 기계적이어서, 사람의 진을 쏙 빼놓도록 소모적'으로 보인다. 그게, 아들에게는. 

반면 이 글의 저자인 51세의 아들은, '자연스러운 죽음에 이미 반쯤 홀린 상태이다. 죽음, 그것은 삶이라는 임시직 후에 찾아오는 상근직이다. 이제는 애써 고개를 틀지 않고는 반대쪽을 바라볼 수가 없으니, 죽음이 다가오는 것을 너무나 분명히 느끼기 때문이다.'  어느새 이런 상태이다.

대체 어쩌다가 이렇게 되었는지는 지은이도 모른다. 어쩌면 아버지라는, 너무나 맹렬하고도, 끊어져야 할 듯한데도 하염없이 이어지기만 하는 삶의 비현실성에 과학과, 경험과, 인문을 들이대며 죽음이라는 엄연한 현실을 증명하고 확인시키고 싶어졌던가?   

내 나이로 치자면 거의 이 글의 지은이에 가까와지는 중이지만, 어쩌다 보니 지은이만큼 죽음에 집착하지도, 지은이의 아버지처럼 삶에 목매지도 않고 살아왔다. 내 어머니의 때이른 죽음이 삶에 대한 또한 죽음에 대한 내 관점을 크게 휘어버렸음직도 하건만, 여직 그저 살고 있을 뿐이지 삶이나 죽음 자체에 깊이 천착해보지 않았다. 어느 순간 벼락처럼 갑작스레 와버릴 수도 있는 죽음이건만 아직은 그 번쩍 하는 순간에 대한 예감도 하지 않고 미리 마음 속에 쟁여두지도 않는다. 또 어쩌면 이글 지은이의 아버지처럼 약간은 징그럽게 길게 이어질 수도 있는 삶이지만 그에 대한 대비나 걱정 없이 지금을 살 뿐이다. 그때가 되면 그때의 생각이 있을 것이라고 접어두면 그만이다. 무신경하거나 무대책하거나, 지금 살아내기도 만만치가 않으니 앞이고 뒤고 가끔 생각할 따름이다. 이 책의 지은이는 뭐하러  

독자를 향하여, <사람은 언젠가 죽는다> 라고 중얼거리는가. 마음을 단단히 먹으라는 건가 담담하게 받아들이라는 건가, 그도 저도 아니면 한번 정리나 해보고 싶었던 것인가.  

아버지의 삶의 방식과 자신의 살아온 이력을 교차시키며 보여준다. 딸 내털리도 끼운다. 3대, 유전자는 이어진다는 것. 그의 죽음은 그에게는 끝이지만 그의 유전자에게는 끝이 아니라는 것. (그래서, 새로운 것도 아닌데, 어쩌라고?) 스포츠를 통해 자신의 유년과 청년과 중년기의 이야기를 끌어낸다. 그는 그 자신 자주 인용하던 우디 앨런과도 같이, 끊임없이 중얼거린다. 수없이 인용한다. 자신의 의견에 일치한다고 말하는 것도 아니다. 그저 이렇게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때로 이렇기도 하다, 간혹 이렇지, 어떤 면에서는 그렇지. 이 정도의 인용이 끝도 없다. 가끔 가슴에 퍽, 하고 다가오는 한 마디를 남긴 이도 인용된다. 때로 잠시 책을 덮고 눈감고 생각하거나, 살짝 밑줄을 긋거나, 다음에도 기억하고 싶어서 종이쪽을 약간 접어두거나 할 만큼 유용하기도 하다. 지은이의 말은 아니다. 마치 다람쥐가 도토리를 줍듯, 지은이가 이것저것 모아두는 말들. 그 도토리들은 때로 겨우내 소중한 양식이 되기도 하고 때로 잊혀진 채 묻혀 이듬해 싹을 틔우기도 하고 그도저도 아니면 그저 땅 속에서 썩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기도 할 것이다. 나도 가끔 이 책을 꺼내들고, 그 도토리들이 어찌됐나, 살펴보기도 하겠지. (그러지 뭐) 

1907년, 36세이던 프랑스 작가 폴 레오토는 말했다. '어느 날 누가 물었다. "요즘 뭐하고 지냅니까?" 나는 대답했다. "나이 먹느라 바쁩니다."  

가끔 그가 인용한 말들은 허무하다.  

미국의 철학자 니컬러스 머리는 말했다. ' "30세에 죽었으나 60세에 묻혔다" 라고 묘비에 써야 할 사람이 얼마나 많은가.' 

아주 가끔은 무릎을 치게 만든다.  

지은이의 아버지는 지금도 삶에 천착한다. 아들은 말한다. "죽음을 받아들이세요." 

지은이는 오래전부터 죽음에 천착해왔다. 아버지는 말한다. "삶을 받아들이거라." 

그 둘의 이야기를 화면에 담으면 아마 밑도 끝도 없이 그저 보여주는 한 편의 프랑스 영화 같지 않을까. 가끔 말로 웃기고 가끔은 번잡스럽게 말하고 그러다 보면 끝나는. 그러니, 내가 어느 나이 쯤에 다시 이 책이 생각나 보고싶어질지, 도무지 알지를 못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