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색 한국의 버섯
조덕현 지음 / 아카데미서적 / 200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중에 버섯 도감이 꽤 여러 가지 나와있는데, 그 중 이미 여러 권의 버섯 관련 책을 낸 바 있는 전문연구자의 것이라고 해서 관심 있게 펼쳐보았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괜찮은 듯함에도 들여다보면 볼수록 뭔가가 부족하다. 사진들도 좋고 설명도 충실하며 313종을 수록하고 있으므로 다루는 종의 범위도 다른 책들에 뒤지지 않는다.

그러나 도감으로 활용하기엔 부족한 부분이 몇 있으니, 우선 페이지 구분이 불편하게 되어있다. 통상 도감이란 것은 한 페이지에 한 종을 싣든 두 종을 싣든 페이지별로 항목이 딱딱 떨어지게 만들기 마련인데 그렇지가 않다. 대부분의 항목이 두 페이지 정도에 걸쳐있어서 보기가 편하지 않다. 사진도 종마다 딱 한 장씩만 수록하고 있어 동정에 어려움이 있다. 버섯이란 것은 돋아나기 시작할 때와 다 자라서 갓을 완전히 펼친 상태의 모습이 상당히 다른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한 장으론 종종 부족하기 때문이다. 모든 종의 포자 모양을 수록하고 있다고 해서 기대해보았으나 이 역시 손으로 윤곽선만 그린 단순한 그림에 불과했다. 

하지만 결정적으로 이 책에 아연실색하게 된 것은 아무리 찾아보아도 색인이 없다는 대목에서다. 그렇다고 본문의 항목들이 가나다순이나 서식장소, 색깔 등 참고하기 쉬운 순서로 실려있느냐 하면 그것도 아니다. 오로지 분류학적 체계와 라틴어 학명에 따라 배열되어있기 때문에 여기에 낯선 대부분의 독자에게는 그저 뒤죽박죽으로만 보인다. 버섯 한 가지를 이름으로 찾으려면 몇 페이지에 걸친 빽빽한 목차를 전부 훑어내려가야 하는 것이다. 

옛날도 아니고 2003년에 발간된 책이 어떻게 이런 어처구니 없는 실수를 할 수 있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시중의 거의 모든 도감이 본문수록순 목차, 국명별 색인, 학명별 색인, 심지어는 영어명이나 일어명별 색인까지도 갖추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납득이 되지 않는다. 이 하나의 이유만으로도 다른 도감 쪽으로 손이 갈 수밖에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