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백화점 - 도시문화의 근대 일본근대 스펙트럼 1
하쓰다 토오루 지음, 이태문 옮김 / 논형 / 200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대 도시인에게 백화점은 생활의 일부이다. 물론 백화점에 가지 않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물건을 사던지 그렇지 않던지 백화점은 현재 도시문화의 일부로 자리잡고 있는 것은 확연하다.
백화점을 도시의 일부가 아니라 '문화'라고 말하는 것은 백화점이 단지 물건만을 사고 파는 곳이 아니라 유행을 논하는 곳이기 때문에 그렇다. 따라서 도시문화의 총아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 그런 백화점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발전하면서 도시의 일부로 아니 도시문화의 일부가 되었는가? 그리고 백화점이 어떻게 도시문화를 이끌어갔는가? 


이런 물음에 대해 일본의 예를 통해 대답하고 있는 것이 이 책이다. 따라서 이 책은 일본의 예(미쓰코시 등등)를 통해 살펴보고 있다. 그렇다면 한국의 예와는 다르지 않는가? 그렇지 않다. 한국에서 백화점이 설립된 것은 일제시기로 일본의 백화점들이 서울, 부산 등 도시에 지점을 설치하였고, 이에 고무 또는 경쟁관계로 한국인들의 백화점도 설립된다. 결국 한국에서의 백화점 설립도 일본의 백화점과 유사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의 백화점과 비교해서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볼 수 있고 또한 도시문화와 관련해서도 한국과 일본의 차이와 유사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박람회 - 근대의 시선 일본근대 스펙트럼 2
요시미 순야 지음, 이태문 옮김 / 논형 / 200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너무도 쉽게 접하는 '박람회'라는 장이 어떻게 어떤 의도하에 이루어지고 발전했는지 또한 그 속의 대중은 어떻게 받아들이고 어떻게 포섭되갔는지를 서구와 일본을 통해 살펴보고 있다.
 

거칠게 얘기하면 '박람회'는 제국이라는 틀을 확장하고 과시하기 위한 '제국주의'의 스펙타클한 장으로 성립하여 발전하다가 소비라고 하는 근대적인 행위의 장으로 변모하여 근대사회를 '소비사회'로 만드는데 큰 역활을 수행하는 장으로 전환하였으며 현재는 거대한 '대중오락'의 장으로 기능하고 있다고 파악하고 있다. 
 

'근대성'을 파악하는데 박람회 또한 중요한 장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박람회로부터 분리되어 유사한 '근대성'의 확립에 일정한 기능을 수행한 박물관, 백화점, 올림픽 등에 대한 지적도 하고 있다.
한국의 근대성 또한 이러한 박람회를 통해 살펴볼 수 있고 일본의 경우를 통해 비교할 수도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백화점과 같이 우리나라의 박람회 참가와 박람회 개최는 서구와 일본을 살펴보지 않고는 파악하기 힘들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우리의 박람회와 근대성을 살피는데 중요한 전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