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백화점 - 도시문화의 근대 ㅣ 일본근대 스펙트럼 1
하쓰다 토오루 지음, 이태문 옮김 / 논형 / 2003년 8월
평점 :
현대 도시인에게 백화점은 생활의 일부이다. 물론 백화점에 가지 않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물건을 사던지 그렇지 않던지 백화점은 현재 도시문화의 일부로 자리잡고 있는 것은 확연하다.
백화점을 도시의 일부가 아니라 '문화'라고 말하는 것은 백화점이 단지 물건만을 사고 파는 곳이 아니라 유행을 논하는 곳이기 때문에 그렇다. 따라서 도시문화의 총아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 그런 백화점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발전하면서 도시의 일부로 아니 도시문화의 일부가 되었는가? 그리고 백화점이 어떻게 도시문화를 이끌어갔는가?
이런 물음에 대해 일본의 예를 통해 대답하고 있는 것이 이 책이다. 따라서 이 책은 일본의 예(미쓰코시 등등)를 통해 살펴보고 있다. 그렇다면 한국의 예와는 다르지 않는가? 그렇지 않다. 한국에서 백화점이 설립된 것은 일제시기로 일본의 백화점들이 서울, 부산 등 도시에 지점을 설치하였고, 이에 고무 또는 경쟁관계로 한국인들의 백화점도 설립된다. 결국 한국에서의 백화점 설립도 일본의 백화점과 유사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의 백화점과 비교해서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볼 수 있고 또한 도시문화와 관련해서도 한국과 일본의 차이와 유사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