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 기억 전쟁 - 1935~1955년 2 근대 일본의 문화사 8
나리타 류이치 외 지음, 정실비 외 옮김 / 소명출판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근대 일본의 문화사 시리즈 8번째인 이 책 <<감정, 기억, 전쟁>>은 7번째 책인 <<총력전 하의 앎과 제도>>처럼 1935년~1955년을 연속적인 관점에서 보는 '총력전체제론'에 기반한 책이다. 특히 이 책은 전편의 앎과 제도에 대한 논의와 함께 아시아태평양 전쟁과 패전, 그리고 '전후 민주주의'를 살아간 일본의 주체, 예를 들어 국민, 여성, 민중, 오키나와인, 히로시마인 등의 주체 형성사가 연속적이었음을 밝히며 이에 따른 두 제국주의(일본, 미국)가 저지른 폭력(아시아와 일본)을 의도적으로 망각한 것으로 드러낸다. 그런데 이 망각을 두 제국주의에 돌리기 보다는 주체 자신으로 돌리면서 성찰을 주장하고 있어 여전히 오래된 글들이지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된다.


그간의 연구가 패전 전의 제국주의와 패전 후의 '민주주의'를 단절로 봄으로써 과거를 억압, 배제했다면 이 연구들은 과거의 '負'를 연속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현재의 '負'와 망각된 과거를 드러내며 성찰할 수 있게 하는 미덕이 존재한다. 이는 한국사에서 일부 경제사가들이 주장하는 '富'의 연속과는 완전히 다른 논의라고 할 수 있다. 어쩌면 전전 제국주의와 전후 민주주의의 연속성을 드러냄으로써 이후 전개되는 이른바 민주주의 사회에 대한 성찰을 이끌 수 있는 의미있는 글들이라고 생각된다.


뱀발) 그런데 이 책 제목의 '감정'은 어떤 의미에서 제기된 것일까? 읽고 나서도 왜 감정일까라는 의문이 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5-01-22 13:55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