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럼, 지구를 뒤덮다 - 신자유주의 이후 세계 도시의 빈곤화
마이크 데이비스 지음, 김정아 옮김 / 돌베개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국주의로부터 정치적으로 독립한 이후에도 여전히 관철되고 있는 경제적 식민성의 모습을 제3세계의 도시화와 슬럼이라는 공간과 거주민들을 통해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물론 제3세계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 세계의 도시에는 어느 곳이든 슬럼이 존재한다. 그 이유는 신자유주의의 첨병이라고 할 수 있는 미국을 비롯한 서구와 세계은행, IMF 등의 구조조정과 그 구조조정을 자신들의 치부수단으로 만들려는 '민족주의자(이런 걸 민족주의자들이라 해야할까? 어쨌든 현상은 그렇다)'들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구조조정이 세상을 또한 한 국가를 '진보'시킬 것이라고 하는 주장은 환상이며 그러한 환상을 조장한 저 신자유주의도 이제는 그러한 환상실현을 포기하고 슬럼 도시를 적으로 돌리며 전쟁으로 응수하고자 한다. 그렇다면 미래는 슬럼이 지구를 뒤덮게 될 것이고 그곳에서는 시가전이 전개되며 곧 인류는 파국으로 치달을 수 밖에 없게 될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파국적 '예언서;다. 

 

하지만 저자는 파국을 얘기한다고 해서 미래를 비관과 냉소로 뒤덮지는 않는다. 파국은 경고이며 조건부이다. 그는 이런 파국을 막기 위한 저항의 힘을 또 다시 슬럼이라고 하는 공간과 그 주민에게서 찾는다. 아직 본격적으로 다루지는 않았지만, 그런 의미에서 슬럼을 낭만적으로 사유하는 포스트이론들과 대결하는 지점은 흥미롭고 그의 다음 저작을 기대케 한다. 개인적으로 <<뉴욕열전>>과 함께 읽으면 두 책의 차이와 지향점을 확인할 수 있을 것 같다. 이 책은 현실을 두텁게 묘사하며 직시할 것을 우리에게 요구하고 <<뉴욕열전>>은 슬럼 속의 인간들이 어떻게 희망을 만들고 있는지를 여러 형태들을 통해 드러내고 있다. 

 

한가지 첨언하면, 우리가 빈곤과 슬럼에 살고 있지 않은 것은 다른 빈곤과 슬럼이 존재하기 때문이며 어쩌면 우리도 경제적 식민자의 입장에서 이들을 외면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하게 하는 책이다. 자신의 행복이 타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임을 알고 자신의 행복과 더불어 이웃의 행복도 생각해야한다는 의미에서 이 책은 소중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