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왓빠 이야기에 대해 별달리 글을 써야겠다는 생각은 없었습니다.
장애인을 다룬 영화이기에 의미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에게 장애인과 어떻게 사는 것이 올바른 삶인가 문제제기하는 정말 좋은 영화였기에 더욱 그렇습니다.
존재하지 않는 자들의 존재를 드러내주는 또는 드러내줘야 한다는 의미에서 정말 소중한 영화라고도 생각합니다.
하지만 의문이 아니 제 자신에 대한 질문이 자꾸만 생겨나 나름의 고민을 여기에 올립니다.
이 고민과 질문이 왓빠 이야기에 대한 저의 소감입니다.
왓빠 이야기는 곰곰히 곱씹어보면 볼수록 녹녹치 않은 영화일 뿐만 아니라 주제였다는 생각이 듭니다.
일단 왓빠 이야기는 제가 본 바에 의하면 비장애인을 위한 장애인 영화라고 생각이 듭니다.
어떻게 보면 장애인들의 아니 비장애인과 장애인이 함께 사는 일상을 담담하게 그리고 있지만 상당히 계몽적인 영화였다고 생각됩니다.
비장애인으로서 장애인을 어떻게 보아야하는지, 장애인과 어떻게 사는 것이 의미있는 삶인지를 잘 보여주는 영화였지요.
그래서인 장애인에 대한 무한한(?) 애정을 담은 카메라로 맘미암아 아주 사랑스러운 장애인의 모습이 그려졌습니다.
질문에서도 다른 분들의 개인적인 생각에서도 밥먹는 장면(클로즈업된 장면)이 아름답다거나 사랑스럽게 보였다는 것은 감독이 품고 있었던 마음이 렌즈를 통해 고스란히 전달된 것이라고 할 수 있겠죠.
저도 물론 아름다웠습니다. 그리고 평온했습니다.
하지만 그 틈새로 (불)편함이 밀려들어왔습니다.
편했다는 건 클로즈업된 사랑스런 장면(아니 오히려 순수하고 천진난만한 장면은 아닌가요?) 인해 나도 장애인를 인간으로 존재자로 그래서 나와 같은 인간존재로 보구나하는 점에서 그렇구요. 더 나아가 순수한 그 표정이 인간의 표정이지 않은가 하는 생각이 들어서일 수도 있겠죠? 하지만 순수한 인간상에 대한 때묻지 않은 인간상이라는 것이 얼마나 근대적인 얼굴인지 생각해봐야 할 지점입니다.
불편한 점은 그 클로즈업된 장면(얼굴)이 과연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라는 생각에서는 도저히 읽어낼 수 없었기 때문에 그랬습니다.
그렇다면 카메라가 보여주는 그래서 내가 보는 장애인은 혹시나 내가 보고 싶어하는 그런 장애인은 아닌가? 순수한 인간?
질문에서도 나왔지요? 영화에서 그려지는 장애인은 결코 그렇게 아름답지 않다고...편하면서 불편할 수밖에 없는 장면이었습니다. 어쩌면 균형감각을 위해 감독은(의도적이지 않았다고 말씀을 하셨지만) 아름다운 장면을 찍었다고 생각이 들지만 또 한편으로 아름답지 않은 장면으로 인하여 장애인을 인간으로 존재로 보려고 하지 않을까 하는 맘(무의식)이 그런 장면을 회피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더불어 장애인 영화는 어떤 것일까라는 의문이 불현듯 들었습니다.
장애인들의 말이 존재하는 영화가 아닐까 생각이 들었는데 그럼 장애인들은 어떻게 자신을 표현하고 싶었을까 이 영화에서?
아니면 무슨 말을 하고 싶었던 것일까? 의문이 들었습니다.
이러한 의문에 대해 영화에서 참고할만한 두 장면이 생각납니다.
장면1) 빵을 팔러 나온 할머니가 감독과 동행하기 위해 잠시 대기했다가 걸어가는데 감독이 따라오지 않자 몇 차례 뒤돌아보며 멈춰 함께 가자고 하는 듯한 장면
장면2) 생활공동체 안에서 감독에게 어머니가 있는지 반찬을 만드는지 질문을 하는 장면
이 영화에서 위 두 장면은 자신들의 목소리(몸,말)을 통해 우리에게(카메라와 카메라를 통해 구현된 영상을 볼 우리) 말하는 드문 장면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이 부분에서 카메라는 머뭇거리며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는 듯 보였습니다.
애정넘치는 카메라도 갑자기 객관적인 시선으로 돌아서며 묵묵히 지켜보거나 똑같은 질문으로 돌려주거나 했죠.
여기서 장애인들의 말, 표현, 행동이 비장애인의 세상에 불현듯 쏟아올랐을때 낯설어 하는 우리들의 모습이 보인 것은 과장일까요. 오히려 장애인을 그렸지만 비장애인의 말, 표현, 행동이 이 영화에 더 많았지 않았나 생각하면 과잉일까요.
이 영화는 과연 그런 점에서 장애인을 잘 표현한 영화일까? 표현의 불가능성이 바로 이런 것일까? 내내 이런 생각에 사로잡혔습니다.
자신을 표현할 수 없는 장애인들을 대신 표현해주는 영화가 과연 어느 부분까지 장애인의 말일까?
이게 과연 가능할까? 가능하다면 어떤 방식으로 어떻게 말할 수 있을까? 그런 의문들이 드는 영화였습니다.
영화에 대한 인상정도에 그치면서 또 두서없고 갈팡질팡하는 고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