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로 읽는 한국 사회문화사 - 한국 사회문화사 01
이효인 지음 / 개마고원 / 2003년 6월
평점 :
절판


부제(?)이기도 한 '악몽의 근대, 미몽의 영화'라는 함축된 표현이 한국영화의 현주소라고 지은이는 말하는 것 같다. 왜곡되고 억압받고 검열당한 그래서 고통스러운 악몽과 같은 한국 현대사를 한국 영화는 저항하거나(작은 저항은 있었지만) 정면에서 극복하려고 하지 않았고 애둘러서 부정하거나 회피하거나 아니면 과감히 그 속에 순응하였다고 비판한다.

또한 악몽의 근대가 극복(이런걸 극복이라고 해야할지 아니면 회피되어 돌아보지 않는 것인지?)된 것처럼 보이는 현재(왜곡된 근대가 아니라 합리적인 근대의 완성으로 가는 길인지 포스트 모던으로 완전히 넘어선 것이지는 모르겠지만)에도 한국 영화는 우회적으로 돌아 넘어서 '현재의 한국'을 파악할 수 없는 정신적 공황상태에 빠져 시대의 물결에 편승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한국 영화의 이러한 한계는 시대적 상황에 따른 한계이지만 그 한계를 정면에서 극복하려고 하지 않은 한국 영화 스스로의 한계였던 것이다.

이 책은 한국 영화를 쾌락, 근대, 강박, 여자를 통해 분석하며, 그러한 분석은 책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영화들이 나온 시대에 의해 파악되고 있다. 따라서 이 책은 영화를 통한 역사보기라기 보다는 역사를 통한 영화보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책 전체를 관통하는 한국 영화 및 감독에 대한 냉혹한 비판은 역사에 끌려다니는 영화가 아니라 역사의 주체로서의 한국 영화가 되기 바라는 한국 영화를 사랑하는 지은이의 비판적 성찰이지 않을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