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세 - 거대한 전환 앞에 선 인간과 지구 시스템
클라이브 해밀턴 지음, 정서진 옮김 / 이상북스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저자인 클라이브 해밀턴의 주장을 집약한 것이 인류세 시대 신인간중심주의의 반휴머니즘이라 할 수 있다.
지질학적인 '인류세'라는 진단은 지구 시스템 자체가 인간과 자연의 관계 속에서 운용되고 있고 그 긍정과 부정이 동시에 드러난 시대가 인류세라는거. 특히 부정적인 기후재난과 지구 파멸의 미래가 강조되는 것은 물론이다.
인류세라고 진단하는 구체적인 부정적인 문제들은 인류세와 관련된 다른 책들(예를 들어 <<사피엔스가 장악한 행성>>, <<2050 거주불능 지구>>, <<인류세의 모험>> 등)이 더 상세하고 이 책은 그런 것에 관심을 두고있지 않다.
오히려 이 책은 인류세가 자연 중심에서 인간 중심으로 바꿔 지구 시스템 자체를 교란하는 시대에 들어섰기 때문에 인간과 자연의 상호 관계로 파악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남성-이성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으로서 등장한 에코모더니즘이나 포스터휴머니즘 등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되고 있지만 이 책은 오히려 인류세 문제의 책임회피에 관여한다고 진단한다.

물론 각각의 비판적 의미는 분명히 있지만 인간 중심의 유토피아도 디스토비아도 해결의 방법은 아니라고 강조한다.
그렇다면 어떤 방향이 인류세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향일까?
문제의 정확한 인식과 직면이다.
이와 같은 인류세는 인간 중심이 아니라고 하는 것으로 해결될 수가 없다. 오히려 인간 중심이기 때문에 이루어진 시대다. 따라서 이 책은 새로운 인간중심주의, 즉 지구 시스템의 주체로서 책임을 가지는 새로운 인간중심주의에서 이 인류세의 문제를 극복하자고 주장한다. 
이 주장은 형용모순처럼 보이지만 지구 시스템의 중요한 주체인 인간과 자연을 모두 중심에 두고 기존의 휴머니즘도 인간외 다양성을 주장하는 포스터휴머니즘도 아닌 반휴머니즘의 측면에서 지구 역사를 바라보고 책임감을 지닐 것을 주장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