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마 시절 열린책들 세계문학 103
조지 오웰 지음, 박경서 옮김 / 열린책들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국주의에 대한 비판. 인도 경찰로 일했던 시절에 느낀 백인들의 행태에 대한 조지 오웰의 솔직한 고백담과도 같은 소설. 얼굴에 커다랗게 나있는 푸른 모반 때문에 백인도, 흑인(황인)도 아닌 회색분자로 원주민 의사 베라스와미와 친하게 지내던 벌목회사 직원 플로리. 아마도 플로리의 고민이 오웰의 고민이었을테다.

단지 타고난 국적과 혈통 때문에, 지배자의 입장에서 피지배자인 흑인들을 얕보고, 폭행을 일삼고, 인간 이하로 보는 백인들의 시선. 그러는 그들은 고귀한가. 클럽에서 만나 하는 일이라고는 술 마시고, 자신들의 권익을 보호하려고 말싸움 하는 것 밖에 없는데. 자신들은 고귀하고, 선하고, 아름답다고 생각하며, 동양은 추하고, 더럽고, 악하다고 생각하는 그들의 모습 속에서 실제로 아름다운 것은 하나도 발견할 수 없는데. 

가난하지만 허영 많은 아가씨 엘리자베스의 등장으로 한번의 태풍이, 사악한 원주민 관료 우 포 킨의 계략으로 또 다단계의 태풍이 밀려 오면서. 자신의 것을 지키려던 사람들의 심리와 행동의 변화가 각각 어떻게 변하는지 볼 수 있다. 이 책에는 제국주의 시대에서 볼 수 있을 법한 다양한 군상들이 나오니깐. 특히나도 서술이 전지적 작가 시점인데도, 한 챕터가 한 사람의 심리에 포커스를 맞춰 기술을 하기 때문에. 각각의 캐릭터들의 심리를 읽어보는 것도 재미가 있다.

제국주의 시절은 지나갔지만. 그 시절 지식인들이 느꼈을 법한 고민이 현대라고 사라진 것은 아니다. 지배자와 피지배자. 가진자와 없는자. 순수한 한국 가족과 다문화 가족. 가진 자로서, 또는 무언가 박탈 당한 자로서. 전체의 그림을 볼 수 있는, 진정으로 의미 있는 것을 볼 수 있는 그런 시각을 가져야 할 텐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