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전체 넓이는 22만 제곱키로미터이고 남한만 10만 제곱키로미터이다.

남한 땅엔 5천만 명이 살고있다.

미국의 인구 분포 정도를 남한에 대비해 보면 400만명이 흩어져 사는 경우이고 호주같은 경우엔 10만명이 흩어져 사는

꼴이다.

10만 명 정도가 남한 땅 크기에 흩어져 산다?

이런 나라에서 공부라는게 과연 중요할까?

넘치는 자원속에서 여유롭게 즐기며 살 수 있을텐데.....

우리나라는 부족한 자원에 인구가 많으니 머리로 먹고 사는 수 밖에 없다.

인적 자원을 활용한다는 의미이다.

일본의 경우가 인적 두뇌를 활용해 적용하여 성공한 나라라는 점이 안타까운 현실이다.

교육은 이런점에서 중요하다.

몸빼바지에 짧은 머리 커트로 공장의 기계에 적응하며 규칙적이고 숙련된 시종속에 생산라인에 익숙해진 훈련된 모습이

지난 시절의 모습이었다.

 

이제는 창의성이 중요하다.

넘치는 인간자원을 개발하여 엘리트에 의존했던 방식을 어떻게 재구성할것인가가 과제이다.

창의성의 강조 !

이런점에서 개개인의 능력활용이란 점이 부각되고 자원 없는 나라가 강대국이 되고 선진국이

되는 길이라는 점이 명심 될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형식속에 내용이 있다", "형식이 내용의 질을 좌우한다".

이 말의 의미를 깊이 새겨보면 형식의 중요성에 대한 말임을 알 수 있다.

이 말의 근원을 찾아가면 독일 막스베버의 <형식합리성>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쉬운 예를 찾아보자

우리가 갖고 있는 스마트폰의 케이스 네모진 틀 안에 여러가지 내용물이 존재한다.

케이스가 곧 형식이 되고 내용물의 규격과 연결형식이 곧 질을 좌우하는 형식이 되는것이다.

공장제 기계공업 사회에서 한가지 형식을 만들어내면 그 틀을 가지고 대량생산에 들어가게 된다.

그래서 소품종 대량생산 이라는 말이 생겨났다.

그리고 공장에서 그런 효율적인 생산의 체계를 갖추기 위해 작은 나사 하나까지도 규격화하여 빠른 생산라인의

즉 컨베이어 벨트식 생산을 개발한것이 유명한 테일러 시스템이 되는것이다.

교육도 마찬가지이다, 케이스에 넣고 나사로 조이고 단계별 공정을 거치는것이 교욱과정이고

그 역할을 교사가 수행하고 과정 과정을 관리지가 감독한다.

그래서 형식합리성 사회에 따르는 것이 관료제인데 교육에서 관리자는 교감 이상이 되는 셈이고

관료의 개념도 그렇게 규정되어있다.

 

오늘날은 다품종 소량생산의 체제이다.

교욱개혁이란 이런 체제에 익숙한 다시말해

공장제 기계공엄 하듯 대량생산의 체제에서 다품종의 소량생산체제로 변환되는것을 뜻하는것이다.

이 말은 앨빈토플러가 예년에 일요 프로그램에 나와서 직접 한 말이다.

그렇다면 기초적으로 다품종에 가능한 형식이 필요하고 거기에 맞는 원료인 학생 선발을 하면 가능하지 않을까?

소량 생산에 대규모 학교가 필요한지 부터 생각해 보아야 할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수입] The Beatles - Stereo Vinyl Box Set [리마스터 180g 16LP 한정판 박스세트] - 전세계 5만세트 한정 발매/ 252p 양장본 책자 수록 비틀즈 리마스터 시리즈 23
비틀즈 (The Beatles) 노래 / EMI(수입) / 2012년 11월
평점 :
품절


이 lp가 한국 EMI 기획상품인지 비틀즈 소속사 캐피탈사와 오리지날 녹음 원반을 리마스터링한건지에 대한 명확한 출처가 나와야지 그렇지 않으면 일반 리바스터 시디보다 음질적으로 낳을게 없으므로 엄청 비싼 가격임. 소개란에 출처를 사진으로 밝히는건 음반 판매의 기본인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본주의의 미래
레스터 서로우 지음 / 고려원(고려원미디어) / 1997년 3월
평점 :
절판


*자본주의와 경쟁했던 파시즘,사회주의,공산주의는 모두 사라졌다 - p11

 

*중세에는 탐욕이 모든죄들 가운데 가장 나쁘것이었고 상인들은 결코 신에게 호감가는 사람들이 아니었다. 자본주의는 탐욕이 하나의 미덕이다. - p25

 

*중국이 세계를 지배하는 일은 실제 일어나지 않았다. 중국은 적절한 이데올로기를 가지지 못했다. - p31

 

*중국이 선진국으로 진입하는데는 지금부터(90년대 말) 100년이 걸릴것이다. 일본도 그 정도의 시간이 걸렸으며지금까지 그보다 더 빠른 속도로 선진국에 진입한 나라는 없었다. -p82

 

*미국에서 육군대령이 사업가로 성공적으로 변신하는 확률은 얼마나 되는가? 정확히 그 확률은 0(제로)이다. 완전히 다른 정신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p87

 

*일본이 중국 마을에 군인 한사람씩 배치 한다해도 절반의 마을 밖에 배치하지 못할것이다. -p89

 

*마르크스는 보편적인 공산주의 이념이 민족 정치를 쓸어버리고 범 세계적 생활수준을 가진 사회체제를 기대했고 그의 눈에 민족주의는 공산주의의 주요 적들 가운데 하나였다. -p172

 

*가난한 자에게 물건 팔아 부자되기보다 부자에게 물건 팔아 부자되기가 쉽다. 미국은 그런면에서 유효한데 60년대 일본이 35%, 80년대 아시아 네마리용이 48%, 90년대 중국이 50%의 미국 수출이 이루어졌다. -p173

 

합리화 사회의 특징인 계량화 수치화를 동한 제시를 통해 앞으로의 미래를 예측한 분석서이다.

다양하게 여러 분야를 다루어 딱딱한 실용서적인 인내만 감수한다면 철학적 결론의 예증서 라는 느낌을 갖게 되리라고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직 독서뿐 - 허균에서 홍길주까지 옛사람 9인의 핵심 독서 전략
정민 지음 / 김영사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략 30년 못미쳐 예전 도올의 <여자란 무엇인가>를 읽고 인식을 달리했던 동양고전이

오랜 세월이 흘러 이제 쉬우면서도 이해력있고 설득력있는 고전들이 새롭게 나타나고 있다.

그중에서도 정교수님의 글들은 원문보다 오히려 해석 부분이 더 읽을만한 그런 특징을 가진 책으로 여겨진다.

 

간략하면서 정돈된 구성에 여백의 미를 살린 배치도 읽기 편하고 부담감을 덜어준다.

다독을 해온 사람에게는 세밀하게 다듬어주는 꼼꼼함을 초보 독자에겐 마음가짐의 자세를 일러주며

짐짓 수필같은 느낌으로 천천히 음미하며 들여다 보게되는 책이다.

 

붉은 밑줄을 그은 부분중 현재의 나인지 예전에 몰랐던 자신인지 오래전의 선인과 공감하는 부분이 하나 있다.

"평소 가슴속에 답답하게 쌓인 기운이 있으면 이따금 까닭모를 슬픔이 일어나 답답해 한숨을 쉬게 된다네"

독서로 뭔가를 얻고자 했던 사람, 독서력만 믿었던 사람, 애타게 길을 찾아 헤매다 세월만 보낸 사람

이런 사람이 느끼는 공감의 부분이라고 생각되어 한줄 남겨본다.

 

고전은 맘을 편하게 해준다. 자신과 공감하는 정서를 내포해서가 아닐까?

그것도 전통속에서 같은 땅과 숲을 향유한 사람끼리에서 오는 ...

 

저자의 책은 발간 될때마다 일단 내용을 들춰보게 되는 리스트로 올려져있다.

다음의 작품들도 기대해 보는 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