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체의 민주화 선언
마광수 지음 / 책읽는귀족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교수의 글은 문학가 다운 글이라고 매번 느낀다. 철학자 같은 준엄하고 맹렬한 자기 주장이 없기 때문이다.

철학적 메세지가 부족하다기 보다 철학적 메세지를 포장하는 기술을 사용하지 않는것이라고 본다.

 

쉽게 말하자면 논리를 끌어다 쓰지 않는다는점이다. 덕분에 읽고 이해하기는 쉽다. 덤덤히 자기 이야기를

소설적 허구를 쓰듯이 솔직히 써내려가서 읽는 이를 당황하게 만든다.

 

갈수록 에세이나 저서는 늘어나는데 조금 식상하는감도 없지않아 있다.

매번 같은주장 비슷한 주장이 들어있기 때문이 아닐까?

 

새차를 타면 아니 새로운 모델을 타면 그 차가 기존의 차와 뭐가 다른지 어떤점이 좋은지

단순히 새차를 좋아하는 심리에 기대기 보다 구형같은 기존의 방식을 뛰어 넘는 설명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

 

그럴려면 자기 주장에 대한 철학성이 있어야한다. 야한여자가 좋다 처럼 주역적 설명도 집어 넣고

아니 기존의 비슷한 인용구라도 찾아서 동조자를 만드는 방법이라도 보여줘야 신선도가 느껴질것 같다.

 

그냥 새롭게 그를 알고자하고 처음 접하는 이에게 충격적으로 느껴질 내용이 아닌가 생각된다.

무조건 긍정하고 읽으면 주장은 옳지만 삶의 고정적 패턴에서 그런 긍정이 질서를 무너지게 할까 스스로 자율을 가하게 된다.

 

그렇다고 주장을 반박하는것은 결코 아니다. 성해방 같은것! 위선을 벗어보는것! 얼마나 좋은가

홀라당이란 말 한마디로 느껴지는 자유!

그렇게 하지 못하고 남의 문학적 표현과 주장에 그리고 그 위안에 매달려 자유를 얻는  현실이 안타깝고 상상으로만 존재해야 함이 싫을뿐이다. 그저 자고나면 꽃은 피고 새는운다는 말에 동조하며 늙어가는 범부들에겐 짜증스런 푸념만 생긴다.

 

대개 문학을 좋아하는 이는 음악도 좋아하는데 음악적 취미가 없는지 음악 애기는 한번도 읽어본적이 없다.

그리 오랫동안 주장하던 그 만의 강의가 얼마나 주변에서 실제적으로 나타났는지도 은근 알고 싶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손열음 - 쇼팽: 피아노와 현을 위한 녹턴 (2CD)
쇼팽 (Frederic Chopin) 작곡, 가차리안 (Ruben Gazarian) 지휘, / 유니버설(Universal) / 2008년 12월
평점 :
품절


성형 미인을 보는 즐거움도 있지만 그냥 수수해보여도 이러한 고상한 음악가가 주는 선입견은 볼수록 매력적인 친근감을 갖게 한다. 영화 피아노 인가 폴란드 방송국 피아니스트의 실화를 담은 영화에서 그토록 쓸쓸한 폐허 속에서 절망에 빠진채 남루한 차림의 주인공이 연주하던 쇼팽의 녹턴21번! 비록 tv를 통해서나마 두번씩이나 보았지만 여운은 참 길었다.

 

들을수록 잊혀지지 않는 독특한 피아니스트! 이름조차 한번 듣고 잊혀지지 않으니..

그녀의 연주는 군더더기 없이 청아하고 단아하고 감성을 자극한다.

 

아무도 없는 도서관 한 구석에 놓인 낡은 카셋트에서 자그맣게 흘러 나오던 그녀의 녹턴 연주에 눈물이 찔끔거리던 감성으로

오늘 하루를 저미어 보게 된다.

 

음질 상태도 매우 양호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긍정의 힘 - 믿는 대로 된다
조엘 오스틴 지음, 정성묵 옮김 / 두란노 / 200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초의 근대적 사회학자로 평가 받는 데카르트가 한 유명한 말

'나는 회의한다. 고로 존재한다' 이는 '나는 의심한다 고로 존재한다'로도 풀이되는데

기독교 신앙에서 접하는 최대의 거부감이라면?

의심하지 말고 믿어라  이책에도 '우리는 하나님을 의심하지 말고 무조건 믿어야한다'(P300)

-------------------------------------------------------------------------------

결과적으로 신의 존재를 알려 하지말고 믿으라는 말인가?

우리라는 틀에서 데카르트적 의심 방식은 궁극적으로 신에 대한 회의로 다가서게 되는게 아닐런지..

누군가 이 문제에 답을 주었으면 좋겠다. 여기에 답을 주지 못한다면 종교적 한계가 아닐런지..

 

무슨 힘에 의한것도 아니고 어쩌다 다독의 구입도서 목록에 이책이 포함되었는지

그리고 구입만 해 놓고 너무도 맑은(?) 아니면 말쑥한 얼굴에 조금의 거부감이 있었는지

늦게나마 읽기 시작하였다.

 

이 책의 소감은 힐링이다. 최근 힐링캠프라는 프로를 종종 보지만 그중 한명의 MC가 독실한 기독교인이라던데

그들의 힐링능력을 고려해 배치한 이유가 이책을 통해 보니 알 듯하다.

인생의 중요한 터닝포인트에 있을 때, 갈등을 겪고 방황이 보일때 이 책을 통한 마음의 치유가 가능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저 흔한 목사님의 설교로 여기기엔 삶의 원천적인 내용으로 다가선다.

뭔가 상식적인 그리고 평상적인 근본으로 바닥을 울리는 힘이 있는듯하다.

 

헤겔이 절대 정신이라고 표현한 인간 고유의 능력이 신이 준 이성이라면 그를 통해 삶을 해결해 보려는

모든 서구의 철학들이 전하는 메세지들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다고 여겨진다.

 

그 철학성적 에너지를 부여하는 힘이 학자적 분석이 아닌 그저 순수한 신앙의 힘으로 다가서기에

근대 이성이 벗어나려했던 신앙의 굴레를, 니체의 초인적 발상을 역으로 생각케하는

마치 지고한 삶속에서 부딪히는 사람들에게 전통적 어른들의 가르침처럼 저들의 목자역할이

뭔지를 생각케하는 순수하고 진정한 오리지널리티를 느끼게 하는 그런것이다.

 

도포입고 갓 쓴 우리의 훈장님 가르침에 대비되는....

 

기독교는 생명의 종교라는 말이 떠오른다. 낙심하고 좌절하고 삶을 포기하려는 사람들에게 주는

마치 식물에게 물을 주는듯한 느낌이다.

 

* 삶의 열정을 잃는 주된 이유중 하나는 감사할 줄 모르기 때문이다.

* 내면에 원망을 품으면 우리 삶은 온통 원망으로 가득차게 된다.

* 자신만의 경주에서 최선을 다하면 자신감은 저절로 생긴다.

* 내 부모는 나를 버렸으나 여호와는 나를 영접하시리라

* 지금 당장 최선의 삶을 살려면 먼저 믿음의 눈으로 삶을 바라봐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다지오 소스테누토 - 어느 인문주의자의 클래식 읽기
문학수 지음 / 돌베개 / 201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흔히 다루는 클래식적 지식의 다른 방편을 택하기 보다 음악을 통해 느끼는 감흥을 수필로 표현하듯 써내려간 느낌이다.

그래서 그런지 단원 말미마다 소개되는 곡들이 어쩐지 듣고 싶은 생각이 들때가 있다.

아마 그래서 인본주의자의 클래식이라고 소개한것인지도 몰겠다.

 

적정하게 인용된 음악적 저서를 통한 글귀나 감동 받은 내용들은 부담스럽지 않게 읽을수 있는 책이라고 여겨진다.

책의 구성 자체도 질 좋은 종이에 적절히 들어간 컬러화보등이 딱딱하지 않게 변성하려는 노력처럼 보였다.

 

단지 어느 일면에서의 깊은 음악적 지식을 소개하기 보다는 단편적인 전체성으로 취사 선택적 작문은 긴 여운을 주기엔 어렵다고 느끼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Good Work - 개정판
하워드 가드너 외 지음, 문용린 옮김 / 생각의나무 / 2007년 9월
평점 :
품절


윌리엄 데이먼의 <무엇을 위해 살것인가>를 감명깊게 읽고 책 속에 언급된 저서로 속편격이라는 말에 구입을 했지만 결론적으로 유전학과 언론인에 대한 미래적 직업의 소개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전편격인 <무엇을....살것인가> 같은 감명은 1/10 도 받을 수 었어 안타까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