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 인간의 맛
도올 김용옥 지음 / 통나무 / 201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선생님의 패기는 뭔가 어긋나는 느낌이다.

최근의 나꼼수 출연이나 쥐새끼론을 말씀하실때 굳이 저렇게 까지 전면에 나서야 할 시대적 소명이라도 느끼시는건지

보는 애독자로써 안타까울뿐이다. 뭔가 이용당하는 느낌이 들기 때문이다.

그저 듣기싫으면 안듣고 싫으면 책을 덮으라는 오래전의 말씀을 그대로 실천하시는건지

이젠 범접할 수 없는 거대한 철옹성의 세계에서 소박한 정겨움을 느끼게 해주셨으면 한다. 언제까지 전성기의 패기를

유지하시려는지 보는 이가 위태롭기만 하다. 그저 노학자에게는 지긋한 멘토 한마디가 더 잘 어울린다고 느껴진다.

이는 어쩌면 삶에 지친 오랜 독자의 푸념섞인 이해 부족에 기인하는지도 모른다.

 

방송중단 압력이라는 사태에 맛서 투표 참여 독려로 맛선 노학자의 작품이다.

예전 도올서원 강의와 13경인가 하는 총체적 번역의 일부로 나온 중용말고 3번째 중용 관련 책이 되는 셈이다.

근래 다시 맹자가 나오기도 했지만....

 

동양적 고전을 통한 삶의 변화나 생활의 연결은 쉬운일이 결코아니다.

그 놈의 컴퓨터 식의 구조화인지 뇌구조의 정렬인지 배치인지를 다시 해야하는 두려움 때문이다.

뇌속에 폴더를 하나 만들기엔 용량이 크고 뇌 전체를 지배하기엔 속 서열을 재 배치하는 식이다.

실천윤리적 이미지의 동양고전으로 살아내기엔 삶은 부딪혀야하고 해결해야 할 숙제와 문제를 너무도 많이 제시하고 있다.

그렇다면 일부만이라도?

 

그렇게 정리하기엔 도올선생님의 책의 무게는 강하다. 임팩트가 강하다는 말이다.

새로운 고전의 번역에 충실해주시면 어떨까 생각도 해보지만

예를 들면 <근사록> 같은거 <격치고>, <예기>,<주역> 같은 건 왜 손을 대시지 않는지

언젠가 교육에 대한 일갈의 포문 약속은 왜 아직도 안열고 계시는지

그냥 빙빙 도는 느낌도 지울수 없다.

 

책 내용은 정돈된 느낌이 들지만

아주 쉽게 해석하고 정리하기엔 부수적으로 하실 말씀이 많이 있다는 생각이 든다.

늘 그러하긴 하지만...

그간에 접한 다른 중용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새롭게 인식된

부수적 언급과 해석들이 들어있기에 그리고 강의에 맞춰 발간된 면면이 있는 저서라 여겨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