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연 - 세레나타 노투르노 (밤의 세레나데)
김지연 (Kim Chee-Yun) 연주 / 유니버설(Universal) / 200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음반을 구하게 된것은 순전히 앞서 발매된 <프로포즈> 음반 때문이었다. 영화에서도 전작의 흥행을 뛰어 넘는 속편이 나오기 힘들듯이 이 음반도 다분히 순수성만 가지고 바라보긴 힘들다. 처음 들었을때 웬지 언밸런스적 느낌이 들었다. 왜그런가? 

모든 음 하나 하나가 선명해져서 바이올린이 묻히는듯하더니 한번 더 들으니까 거꾸로 바이올린 소리가 강조되어 자칫 재즈적인 각자의 로맨스를 들려줄듯 악기들이 평행선을 긋는다. 앨범 내부를 읽어보니 모니터스피커로 B&W사의 노틸러스란 스피커를 썼다고 하는데 물경 1/2억원쯤 되는 이 스피커를 쓴게 맞다면 소리가 인위적으로 가공된듯한 느낌을 지울수 없다. 

미안하지만 지나치게 바이올린 소리를 강조시키려는 녹음작업을 시도한건지 바이올린이 좀 시끄럽다. 그녀의 땀내나 숨결은 전해오지 않는다. 심지어 현의 마찰음조차, 바스락거리는 긴장감은 전해오지 않고 단지 매끄럽게 다듬어진 바이올린 소리만 강조되어 다가온다. 산만한 이유는 비올라나 기타의 음색이 바이올린과 비슷하기 때문 아닐까? 비올라 같은 협주고에 맞는 악기가 바이올린을 바쳐주는 역할을 하기 보다 바이올린의 영역을 잠식하는 효과를 보여주는 녹음이 되고 있다. 말을 걸어오는듯한 느낌은 연주자의 주변감, 즉 음장감을 느끼지 않고 섬세한 기교와 강약으로 다가오기에 그녀만의 특색이자 형용할 수 없는 음의 저며옴? 이런게 아닐런지... 정작 음량을 높히고 듣기엔 부담스럽다. 내가 듣는 15인치 두발이 박힌 탄노이 DMT215의 소리가 나빠서일까? 노틸러스의 12인치급 저음보다야 풍부할텐데 물론 노틸러스의 긴 저음 공간이 주는 감싸안는 저음은 아닐지언정 모니터형으로 손색없는 스피커인데- 일반인들이 부담없이 휴대용 시디피나 소형 시스템으로 백그라운드성 음악으로 듣는다면 매우 잘 나오지 않을까 생각도 해본다. 녹음용 모니터 스피커는 반드시 스튜디오 모니터형을 선택하라고 권하고 싶다. 시행착오를 줄이려면 재즈나 팝쪽은 JBL, 클래식은 TANNOY로 구성하는게 올바르다.

오디오 마니아적 녹음은 아니라고 단정짓고 싶다. 프로듀싱부터 엔지니어 협연까지 모두 내국인으로 구성된 특징이 전작인 프로포즈에서 2배정도 많은 외국인 협연자와 비견되는것은 클래식의 고장 출신이라는 선입견 때문 만 일까? 전작인 프로포즈에 비해 자켓의 구성은 더 낫다. 시디 알맹이에 곱게 수놓여진 꽃그림하며 전체적 분위기는 좋은 점수를 주고싶다.  

음악가에게서 악기를 뗀 사진은 뭔가 허전하다. 김지연씨의 에로틱한 포즈는 원하지 않는다. 고혹적인 여신만을 기대할뿐이다. 내부에 바이올린을 안고 찍은 사진을 전면에 내세우고 전면사진은 뒤로 갔으면 더 기품있는 앨범이 되었을텐데 하는..... 

 아무튼 전작인 프로포즈의 여운이 너무 커서일까! 만족스럽지 못한 컨셉이다. 하지만 어쩌면 당신의 카스테레오에서 풍겨주는 세레나데는 기가 막히게 들릴지도 모른다.  

당당하게 말을 걸어오는 그녀의 생동감을 다소간 부담스러움으로 순화시켜주는 작업이 컨셉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녹턴부를 들을수록 이 생각이 더 깊어지는건 왜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