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경화 데카 데뷔 40주년 기념 박스 세트 [19CD+1DVD/LP 사이즈] - 오리지널 LP 커버
베토벤 (Ludwig Van Beethoven) 외 작곡, 솔티 (Georg Solti) / Decca / 2010년 1월
평점 :
절판


한국이 낳은 세계적 바이올리니스트!  그 어머니의 이름을 널리 알린...

장영주, 장한나, 조수미, 신영옥, 홍혜경, 대중에게 친숙한 한국 출신 음악가들이다.  그중에서도 가장 먼저 성공한 케이스의 주인공 정경화씨! 

지금은 원로에 속할만큼 시간이 흘렀지만 그 명성은 아직도 전설처럼 자자하다. 한국인으로서의 자부심과 명예를 떠나 순수한 객관성의 눈으로 그녀를 바라 보아도 세계적 지명도에 손색없는 바이올리니스트이다. 그런 그녀의 기념반이 나왔다. DECCA레이블하면 유명 연주자는 물론 음질 좋기로 유명한 초반 시리즈로 유명한 곳 아닌가! 명실공히 독일 그라모폰처럼 영국을 대표하는 레이블로 많은 레코드콜렉터의 표적이 되고 있다. 여기에서 발매된 음반을 모두 CD화 해서 발매한것이다. 뒷부분의 디지털 음원 8장 외에 나머지는 아날로그 녹음을 디지털화 하여 CD로 제작하였다. 해설지에 어떠한 언급도 없기에 아니 찾지 못한건지 모르나, 마스터 테입을 갖고 있는 데카에 5천부를 의뢰해 만든 제품으로 여겨진다. 음질은 굳이 언급할 필요가 없다. 데카 레이블 자체가 음질을 뜻하는것으로 해석할 만큼 명성이 나있으니...  

엘피처럼 CD표면을 검게 표현한것도 좋은데 미세하게 불편한점이 보인다.  CD를 엘피판처럼 비닐에 넣어 보존하는 방식인데 쟈켓 구실을 하는 종이 케이스가 좀 빡빡하다. 내부 비닐 속지가 구겨져야 들어가니 이건 엘피를 다뤄본 사람이 만든것 같지 않다. 동시에 내부 비닐형태의 속지가 좀 성의가 없다. 적어도 고전적인 빈티지 음반처럼 비닐 코팅된 네모형 종이 속지에 약간 큰 종이 쟈켓을 사용했으면 좋았을것을.... 욕심이라면 겉 케이스도 더 두툼한 양장본으로 하면 좋을텐데 하는 아쉬움도 남고, 이걸 끼워 넣는 방식의 엘피 크기만한 보관 케이스의 홈도 뻑뻑하다. 오래 끼워 넣다보면 틀림없이 찢어질것이다.                 가장 큰 불만은 최종적인 겉케이스! 딱딱하고 단단하고 디자인도 무척 맘에 드는 그래서 겉 양장 케이스는 -벽에다 장식용으로 붙혀버렸지만... - 실제로 벽에 붙여보면 입체감있고 주변과 조화되어 고급 이미지로 잘 살아난다-

이 최종적인 겉 케이스가 일반 엘피랙에 들어가지 않는다는 점이다 보통 엘피가 32센티 정도이고 엘피랙이 33센티 정도로 제작 되는데 이 케이스가 33센티라 딱 맞아 들어가질 않는다. 결정적 제작의 미스이고 품격을 떨어트린 행위다. 너무 아쉽다. 그리고 맨 첫 cd부터 차이콥스키와 시벨리우스 바이올린 협주곡 순서가 뒤바뀌어 녹음되어 있다는점, 이는 본인이 이 lp를 직접 가지고 있어 확인한 사항이다. 다른것도 그렇게 되었다면 곡명을 엉뚱한걸로 듣게 되는건 아닌지... 에그 칠칠맞은 녹음 프로듀서여~ , 하지만 내부 음질이나 녹음상태 만족하며 사용상의 불편은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대한 응답으로 소비자가 감내해야 할 부분이리라! 최신의 24비트 방식 처리니 하는 언급이 없는걸 보아도 녹음 수준은 전형적 라이센스 음질로 여겨진다. 이런 귀한 아이템은 그 명성과 가치에서 최고 수준의 음질로 처리하여 판매해야하는것 아닐런지....아무튼 언제 이런 아이템의 레파토리를 구할수 있으랴 ! 유명한 세계적 바이올리니스트의 귀한 레파토리를 몽땅(?) 구할수 있다는것!  이제까지 언급한 단점은 미미한 옥의 티일뿐 구해두면 두고두고, 날이 갈수록 소장가치가 뛰어난 작품으로서의 소장품이 될것이다. 무리(?)를 해서라도 구하길 권하는 바이다!  음반 컬렉터의 구색을 갖추는 희귀성에 촛점을 맞춘다면 반드시 구해야 하는 전집이다.

* 단 하나 이 사진 처럼 cd 첫장 부터 차이콥스키와 시벨리우스 녹음이  순서가 서로 뒤바뀌지만 않았으면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