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접하게 된 동기는 도올 선생의 논어한글역주 를 읽게 되면서 였다. 

사실 니체의 천재성이란 그가 인간위주의 삶의 전형인 민주주의의 뿌리 즉 고대 그리스 아테네 이전의 세계를 들여다 보았기 때문이다. 아마도 크레타 문명의 자유와 생동성을 들여다 본 것일까? 이 연구로 그는 25세에 스위스 바셀 정교수가 되었다지 않는가!  

'신은 죽었다' 이 말은 중세 신의 시대가 종말을 고하였다는 말이다. 모든것을 신 위주로 생각하던 시대에서 인간위주로 생각하는 시대 그리고 그 핵심에 나타난 초인사상! 초인이 곧 대지 라는 점은 앞으로 본인도 더 두고 찾아 보아야 할 숙제이다. 

도올의 논어 서론부에 나타난 원한에 찬 인간 르쌍띠망 인간 이것을 읽다가 그 뿌리인 니체의 도덕의 계보를 들여다 보게 된것이다. 유태인 의 증오가 만들어낸 사랑의 위선형 예수 신화는 니체와 바그너의 광팬인 히틀러로 하여금 유태인 학살을 가져오게 한것은 아니었을까 생각하게 하는 내용이 들어 있다.  또한 이 책에는 니체가 말하는 허무주의가 들어 있다.  

p377 그가 말하는 허무주의란 인간에게 지쳐 있는 자조의 목소리이다. 그는 '우리는 인간에게 지쳐있다! 인간을 연구하느라 지쳐 있기에 그토록 지치도록 연구한 결과는 결국 인간이거늘 이로써 남는것이 결국  인간 뿐인데 어찌 허무함이 아니랴 이것이 허무주의가 아니라면 무엇이 허무주의란 말인가?" 

라는 외침이 들어 있는 것이다. 

니체도 결국스스로 미치광이가 되어 종말을 고하지 않았는가? 

바카롤레아의 모범 답처럼 정신을 가지고 정신을 분석하는 삶의 모순 속에서 
우리는 과연 무엇을 찾아 헤매여야 하는건가? 

불교의 평정심인가? 유교의 수양이란 말인가? 그냥 전체속에 묻혀가는가? 아니면 권위에 복속하여 노예처럼 짐승처럼 

자존도 없이 살아가야 하는 걸까? 책을 읽는 내내 떠나진 않은 몇 개월째 들락날락 탐독하는 책이기도 하다. 

번역서가 다 그렇듯이 한번의 독해는 어렵지만 두세번 읽고 사색하고 다시 한번 읽으면 탐닉의 수준이 되는 번역서로 두툼한 

양장본에 활자도 제법 굵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