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읽고 양을 잃다 - 책과 인간의 운명을 탐구해온 한 편집자의 동서고금 독서 박물지
쓰루가야 신이치 지음, 최경국 옮김 / 이순(웅진) / 2010년 10월
평점 :
품절


요즘 아이를 낳지 않는다고 국가적 소동이 나고 있다.

합계출산율(한 여자가 임신이 가능한 기간에 아이를 낳는 숫자)

0.7 이니 0.8 이니 평생 한명도 낳지를 않는 지금 시대를 보면

과거 아이를 둘 이상 낳으면 원시인이요 미개인, 사피엔스라고 불리며

가르치던 시절이 새삼스럽다.

----------------------------------------------------------------------------

 

많은 책을 누구에게 물려줄 것인가?

나 역시 종종 하는 고민이다. 외손자라도 보면 혹시 관심을 가지려나


 

 

책을 가지고 아무곳이나 펼쳐 읽어보는 점 치기식 권복


 

 

다독과 정독의 의미는?

하루 9센티 두께의 책을 읽는 이도 있는데, 어떤이는 3센티도 못 읽는다고

푸념하는데, 이 책의 두께는 2센티이다.

나야말로 하루 0.5센티 읽는 셈이니 비교가 무색하다.


 

------------------------------------------------------------------------------

 

어릴 적에 누님들이 책 사이 사이에 끼워 넣은 은행 나뭇잎

생각도 나며, 넓적한 이파리를 말려 곱게 편지처럼 메모를 쓰던 기억도

생각나고, 에세이스트의 글 만큼 간략하고 때로는 싱겁게도 느껴지며

낯선 일본인들 이름을 보면, 어떤 때는 일본 역사도 한번 자세히 배워야 하는게 아닌가, 역사 속의 이름들의 무게감을 가지고 저울질 해보자는 생각을하다가 친일파니 매국노니 아직까지 잔존하는 이념을 생각하며 생각을 멈추기도 한다

일본에 의한 근대화 가 아니라 일본에 의한 강제적 근대화

이 말 뿐 .......

 

-------------------------------------------------------------------------------------

 

전체적 분량은 많지만

나에게 필요한 부분은 가운데 부분만 지극히 공감을 불러온다.

아마도 일본 문학에 어느 정도 정통한 입장에서는 좀 더 흥미있게

곁에 두고 읽어 볼 책이 될는지

 

일본인들의 번역은 엄청 경탄스럽긴 하지만 거기에 비한 한국의

인문학은 아직 범위를 넓히지 못하는 것 같다.

R&D 예산 가지고 말이 많은거 보면 인문학의 입지는 더 좁다는

느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