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중동 이란 이름으로 고착적인 정치적 판단과 가치 형성에 비판을 가하는 프레임적 용어를 처음 들어 본 것이 대략 2천년대 초반으로 기억한다

같은 사무실에 앉은 한 직급 아래 초보 사원의 혼잣말을 우연히 듣게 된 것이 계기였다.


---------------------------------------------------------------------------------------------


나는 아버지의 대를 이어 2대째 조선일보를 구독한다. 한자를 섞어가며 세로쓰기로 발매를 하던 시절, 친척 집에서 보는 동아일보에는 군데 군데 글자가 빠지고 비어있는 기사를 보던 그 시절에도, ‘매일 신문을 한 자도 안 빼고 3년을 읽으면 학자가 된다는 어느 선생님의 멘트를 인상적으로 새기면서도, 설령 구독지를 바꾼다 해도 별달리 마땅한 것도 없고 해서 그냥 계속 본 것이 대를 이은 몇 십년의 구독지가 되어 버린 것이다.


---------------------------------------------------------------------------------------------


아침에 눈을 떠서 가장 먼저 하는 일은 조간 신문을 읽는 일이다.

잠을 자고 일어나 피곤이 가신 뇌가 가장 먼저 받아 들이는 사회의 신호들이 조간 신문이라는 점에서 조선일보가 1위 구독지가 된 것에는 나름 타당한 이유도 있다고 여겨진다

가장 먼저 들어와 뇌에 자리 잡은 각종 사회의 첫 인상적 소식들의 새김이 판단이나 가치의 처리를 형성했기 때문에, 나름의 구조적인 배열 같은 뇌 조직의 체계를 형성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해 보게 된다.


----------------------------------------------------------------------------------------------


 학교에서 골치 아픈 미적분을 배운들 사회에 나가서 써 먹을 일이 얼마나 있으려나

실제로 사회생활 경험으로 보아도 학교 때 배운 고차원의 방정식을 써 먹을 일은 없을 것이다

물론 나 같은 경우는 앰프를 제작하면서 차동 회로라는 설계 부분에서 방정식이 동원 되는데서 

자작의 심도 있는 작업을 포기하게 하기도 했지만, 우리 일상의 공통적 경험의 장에선 실제 고차 방정식을 활용할 기회는 생기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도 이런 방정식을 배우는 것에 가치를 두는 것은 어째서일까?

그 어려운 방정의 해법을 순서대로 차레 차레 풀어 나가면서, 그러한 과정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다 보면, 어느새 우리의 뇌는 그러한 방정식 풀이의 과정처럼 어떠한 건수를 처리하여 자신의 주변에 생기는 현상이나 문제성을 이런 식으로 풀어가게 되는 지경으로 가게 될 것이다. 마치 조간 신문을 읽으면서 그 처리 방식의 익숙한 형식처럼 말이다. 두뇌 속에 컴퓨터의 파일과 폴더의 방이 형성 되듯이 말이다.


----------------------------------------------------------------------------------------------


일본에 지면 현해탄을 건너오지 말라우!’ 라며 축구에서 힌일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는 이승만 대통령의 말 부터 시작해서, 총체적 국력으로는 이길 수 없는 분야에서 한국이 제압 할 수 있는 운동 종목으로서의 축구는 한일전 만큼은 반드시 이겨야하는 숙명과 같았던 시절이 있었다

멕시코 올림픽(1968?) 동메달의 주역인 가마모토가 골을 넣으려고 센터링한 볼에 점프를 하면

우리나라의 이세현 골기퍼가 볼 대신 턱 주가리를 갈겼다는 주간지 기사를 상기하지 않더라도

예전의 축구에서 대 일본전은 알게 모르게 반드시 이겨야 하는 전쟁과 같은 가치가 있는 종목이 되어 버렸다

지금의 호프집 대형 화면이나 길거리의 대형 전광판, 극장의 대형 화면을 보며 응원하던 문화가

흑백TV 시절에는 다방에 모여 응원을 하고, 전파사 쇼윈도TV 앞에 모이고, 아나운서의 가열차게 

호소있는 목소리로 울부짖듯 전하던 승리의 소식은 추억이 되어도 완전 고물처럼 삭힌 문화가 되어 버렸다.


----------------------------------------------------------------------------------------------


그저 자연과 똑같이 살면서 자연스레 집단 생활을 하는 인간이 간절한 바램을 담아 제사도 드리고 제사장 중심으로 더욱 뭉치면서 점도 치고, 제사도 지내면서 바램도 간절히 빌고, 그런 과정에서 서서히 신적 영역에 접급해 갔을 사회가, 어느 시기가 되면서 위선이라는 가면이 벗겨지며, 종교도 인간을 위해 존재하는 가치로 내려오면, 신 중심 사회는 인간 중심 사회가 되었다.

인간 중심 사회에서 수 많은 갈등과 번뇌 속에 왜 사는지에 대한 물음을 해결하려는 노력이 생겨나고, 결국 답은 살려고 사는 그 사는 힘을 얻는 것! 생동성이라는 주제로 귀결을 하게 된다.


----------------------------------------------------------------------------------------------


스포츠는 그러한 생동성의 원초적 힘을 주는 가장 받아들이기 쉬운 근원적 존재 아닐까

이런 생각을 해보게 된다.

스포츠의 희열을 접하다 보면 나도 모르게 강렬히 전염되어 오는 에너지를 온 몸에 충만하게 된다

그런 면에서 열심히 몰두하는 젊은이들이 고맙게 느껴진다. 한편으론 고마움을 넘어, 저들이 저렇게 나라를 위해 열심히 뛰는데 나는 이 나이까지 이 나라를 위해 한 일이 무엇인가를 생각해 보게 된다.

김연아의 카타르시스가 생각 나듯이, 열심히 실력을 발휘해 우승의 기쁨을 전해 주길 바라며

블로그에 나마 흔적을 남겨 본다.

히딩크가 전해 주었던 4강이라는 전율의 추억은 월드컵 결승까지 가면 재현 될 수 있을까를 

생각하면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