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니까, 왜 소설을 읽어야 하느냐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 먼길을 돌아왔지만 나의 답도 힐러리 경만큼 단순하다. ‘거기 소설이 있으니까‘ 읽는 것이다. 40년 넘게 소설을 읽어오면서 내 자아의 많은 부분이 해체되고 재구성되었겠고, 타인에 대한 이해도 깊어졌겠고, 나 자신에 대해서도 많은 부분을 받아들이게 되었겠지만 애초에 그런 목적을 위해 소설을 집어든 것은 아니었다. ‘자, 근육량을 늘리고 건강해지기 위해 헬스클럽에 가자‘라고 생각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인간과 세계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소설을 읽자‘고 결심하는 것은 어딘가 부자연스럽다. 소설은 소설이 가진 매력 때문에 다가가게 되는 것이고, 바로 그 매력과 싸우며 읽어나가는 것이고, 바로 그 매력 때문에 다시 돌아가는 것이다. 왜냐하면 독서의 목적 같은 것으로 설명해버리기에는 소설을 읽으며 독자가 겪는 경험의 깊이와 폭이 너무 넓고 다양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아직도 개개의 독자가 특정한 소설을 읽으면서 어떤 변화를 겪는지 정확히 알지 못하고 아마 앞으로도 영원히 모를 수도 있다. 우리는 소설을 하나의 도구처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저 소설이라는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것인지도 모른다.
한때 인간은 자연이 합목적적으로 인간을 위해 존재한다는 착각 속에 살았다. 태양은 식물을 성장시키기 위해 아침마다 떠오르는 것이고 과일은 따먹으라고 있는 것이고 사슴은 잡아먹히라고 들판을 뛰어다니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인간 중심주의는 끝없이 붕괴되어왔다. 태야이 지구를 중심으로 돌고 있었던 것도 아니었고, 온갖 동물이 인간에게 잡아먹히도록 창조된 것도 아니었으며, 인간과 원숭이는 별반 차이가 없는 종이었다. 자연이 인간의 필요를 위해 창조되고 존재하는 것이 아니듯 소설도 인간의 어떤 필요를 위해 쓰이고 읽히는 것이 아닐 수도 있다.
우리가 가지 않아도 산이 사라지지 않는 것처럼 어떤 소설은 우리가 읽든 말든 저 어딘가에 엄연히 존재한다. 우리는 소설이 위험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접근하고, 그것으로부터 강력한 영향을 받고, 그것을 자신의 일부로 받아들인다. 독자는 소설을 읽음으로써 그 어떤 분명한 유익도 얻지 못할 수 있다. 다만 그 소설을 읽은 사람으로 변할 뿐이다.
그렇다. 정말 그게 전부일지도 모른다. (120-121)
  • 다다다김영하 지음복복서가 2021-02-26장바구니담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