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 리더 - 책 읽어주는 남자
베른하르트 슐링크 지음, 김재혁 옮김 / 이레 / 2004년 11월
평점 :
절판
(스포일러 포함입니다)
1부
15세 소년과 36세 여인의 사랑이라..꽤 많은 수의 사춘기 남자들이 꿈꾸어봤을 듯한 성숙한 여인이 이끌어주는 성경험은 분명 자극적인 소재다. 솔직히 말해 이 책을 읽게 된 1차적인 이유이기도 하다.
책의 1부는 분명 두 사람간의 에로스에 대한 내용이다. 첫경험을 하게 된 소년의 뿌듯함과 어른으로 성장했다고 믿는 자부심, 그와 동시에 보편적이지 못한 사랑의 예고된 파멸에 대한 내재된 불안감이 섬세하고도 묘하게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1부만으로 하나의 단편소설적 완성도를 보여준다.
2부
한나의 과거를 알게 된 미하엘이지만 그녀를 비난해야 하는지 번민할 수 밖에 없다. 그녀를 부인했던 것에 대한 죄책감 때문이다.
전쟁의 적극적 참여자가 아닌, 방관자에 가까왔던 그녀이지만 문맹이라는 자신의 약점 때문에 택할 수 밖에 없었던 선택, 그 선택이 가져온 결과, 그리고 그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지는 과정을 미하엘과의 감정이입을 통해, 그러나 거리를 두고 지켜보게 된다.
한나의 과거의 범죄에 대한 죄의식과 그녀의 존재와 사랑을 부정함으로 인한 죄책감으로 혼란스런 미하엘이지만 그렇다고 직접 참여해 변명을 대신할 수도 없으며 가슴 속으로 비판하고 부정할 뿐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일은 없다. 아니 행동하고 싶지 않다.
3부
미하엘의 실패한 가정생활은 결국 한나에 대한 혼란스런 사랑의 결과일 뿐이다. 죄책감을 느끼면서도 그녀를 부인했지만 사랑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그 사랑은 과거의 사랑에 대한 보답으로서의 최소한의 행위에 그칠 수 밖에 없는, 사랑이라기 보다는 책임감과 참회에 가까운 행위다. 한나의 범죄를 아직도 마음 속으로 받아들일 수 없기 때문이다. 그의 마음 속의 한나는 15세 때 만났던 한나일 뿐 그 이전의 한나도 그 이후의 한나도 받아들일 수 없다. 결국 한나는 그의 이런 마음을 알고 더 이상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없었다. 그녀의 죽음과 함께 미하엘은 한나의 사랑을 확인하게 되고 과거의 한나를, 사랑의 대상으로서의 그녀가 아닌 하나의 인간으로서 인정하게 된다.
이 작품은 단순한 사랑 이야기가 아니라 독일이라는 나라의 전후 세대라면 겪을 수 밖에 없는 혼란과 번민이 알레고리화되어 담겨 있다. 미하엘은 독일 전후 세대의 죄책감을 상징하고, 한나는 적극적이지도 않고 본의는 아니었을지라도 타인의 삶에 고통을 가져다 준 대다수의 독일 시민이라고 볼 수 있다.
부모 세대의 범죄에 대해 전후 세대는 어떤 태도를 가져야 옳은 것인가? 나와는 상관없다는 태도 혹은 부모세대가 무조건 잘못했다고 비판하고 단절시키는 태도일까?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 그 고통과 책임을 나누고 사랑과 이해가 필요하다고 역설하는 듯 하다.
한나와 미하엘과의 관계의 중요성 때문에 그냥 넘어가기 쉽지만 작품에서 중요한 장면 중 하나는 미하엘이 전쟁과는 상관없이 비껴나 있을 수 있었던 아버지와 상의하는 장면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아버지 역시 독일의 전쟁세대로서의 한계를 보여줄 수 밖에 없다. 아버지임에도 불구하고 전후세대인 미하엘과는 거리가 있을 수 밖에 없는 운명이다.
책을 읽고 나니 같이 보면 좋은 책이나 영화들을 몇 편 꼽고 싶다.
1.쥐(홀로코스트를 겪지 않은 유태인 전후세대와 그 부모세대와의 단절과 혼란에 대한 이야기로 좋은 대칭이 될 듯 하다.)
2. 전후문학으로 불리는 하인리히 뵐의 작품들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3. 빔 벤더스 감독의 초기작품들 (도시의 앨리스, 길의 왕 등을 보면 전후 독일의 정체성 혼란과 공허감이 잘 표현되어 있다.)